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회사나 요구르트 회사는 유아들의 황금색 변을 건강의 상징으로 선전한다. 이러한
사실
이 유아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대변의 색은 대장의 상태를 어느 정도 보여준다. 대변의 색깔이 자장면같이 까만색을 띠는 경우를 흑변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식도나 위, 그리고 십이지장에서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것을 물려받았기 때문에 어머니와 똑같은 DNA를 갖게 된다.1997년 2월 27일 돌리가 태어난
사실
이 영국의 주간과학지 ‘네이처’를 통해 알려지자 세상은 떠들썩해지기 시작했다. 동물복제는 곧 인간복제로 이어질 공산이 컸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어쩌면 1932년 영국의 소설가 올더스 헉슬리(1894-1963)가 ... ...
빨대로 만든 원형스피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것을 우연히 발견했다. 이로부터 전류가 흐르면 도선 주위에 자기장이 만들어진다는
사실
을 알게 됐다. 그리고 전류와 자기장 사이의 또다른 중요한 관계는 자기장 안에서 전류가 흐름녀 전류가 흐르는 도선은 힘을 받아 움직인다는 것이다.실험에서 만든 빨대 이어폰은 기본적으로 전류와 자기장이 ... ...
개미가 지자기를 감지하는 방법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동생활을 하는 일부 개미들이 체내에 있는 자성을 가진 철을 나침반으로 이용한다는
사실
이 발견돼 동물들이 자기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브라질의 에스퀴벨 연구팀은 실험생물학지 최근호에 침개미(Pachycondyla marginata)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 이 개미는 브라질 ... ...
회충 헤모글로빈 산소 파괴하는 매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헤모글로빈의 작용을 추적해 헤모글로빈이 산화질소를 이용해 산소를 분해시킨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이 발견은 혐기성 하등동물들이 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헤모글로빈을 사용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것은 사람의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산화질소를 운반하는 것과는 상반된 역할이다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하지만 현재 문제가 되는 것은 매해 오존 구멍이 점점 커지고 복원도 잘 안되고 있다는
사실
이다. 최근의 오존 관측 자료를 보면 극지 상공뿐 아니라 중위도 상공의 오존층도 지난 10년동안 약 1% 정도 얇아졌다.오존층은 지구의 피부와 같다. 따라서 오존층이 얇아지거나 파괴될수록 생물은 살기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대해 특허를 얻었다. 30억달러 이상의 돈을 벌 수 있는 기술이었다. 물론 무어에게는 이
사실
을 알리지 않았다.뒤늦게 상황을 파악한 무어는 소송을 제기하고 나섰지만, 1990년 캘리포니아주 대법원은 무어가 자신의 신체 조직에 대한 소유권이 ‘없다’고 판결을 내렸다. 대신 발명가가 무어에게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대하지 않았는가 생각해보자. 우리가 무감각하고 수동적인 존재로 무시해왔던 식물이
사실
은 간지럼을 타고, 주인의 발소리를 알아듣고, 시집을 보내주어야 열매를 많이 맺는 존재임을 되새겨보자. 웃자란 곡식들을 아침마다 장대로 쓸어주었던 농부의 지혜와 정성으로 화분을 키운다면 머지않아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단백질이 소포체 안에 들어오면 신호 펩티드는 잘려나간다.1975년 블로벨 박사는 이
사실
을 바탕으로 단백질의 이동 과정에 대한 ‘신호 가설’을 정립했다. ‘소포체로 이동하는 단백질은 특정한 신호 펩티드를 가진다’는 내용이다. 이 가설은 현재 수많은 생화학·세포학 교과서들에서 중요하게 ... ...
작을수록 강해지는 나노물질 합성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외국에서 만들어놓은 나노튜브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을 연구하는데 주력하고 있는게
사실
입니다. 하지만 우리 손으로 직접 ‘쓸만한’ 나노튜브를 새롭게 만들어내면 훨씬 의미가 있지 않을까요?” 연구실을 이끄는 유룡 교수의 말이다. 실제로 유룡 교수 연구팀은 지난 96년 전혀 새로운 구조의 ... ...
이전
1086
1087
1088
1089
1090
1091
1092
1093
10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