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산다는 전설이 있다. 하지만 카노푸스를 보기 위해서는 제주도까지 내려가야 한다. 위 두
사실
은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 준다. 공처럼 둥근 지구 표면에서 위도가 다른 곳에 있으면 같은 별이라도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지구는 스스로 회전하는 자전 운동을 하므로 우리는 별의 ... ...
DDT를 개발한 노벨상 수상자가 몰랐던 것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94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물론 뮐러는 DDT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
을 사전에 깨닫지 못했다.그는 ‘이상적인’ 살충제의 기준으로, 우선 곤충에게는 매우 강하고 빠른 독성 작용을 보이지만 식물과 온혈 동물에게는 거의 독성이 없고, 냄새가 없고, 효과가 오래 지속되며, 값이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꼭지점을 이루고 있는 것은 오메가 성단은 나이가 다른 다양한 별들의 집합이라는
사실
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것이었다.은하는 충돌하면서 성장한다오메가 성단에 포함된 별들은 대략 1백만개. 우리은하의 별 수가 1천억개인 점에 비추어보면 상당히 작은 은하다. 지금까지 외부은하에서 거대한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보호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질병들에 관련된 유전자들이 여러가지라는
사실
은 놀랄 일이 아니며, 이 유전자들을 모두 발굴하는 일이 결코 쉽지 않은 것이다.SNP를 발굴하는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 1996년도까지만 해도 이름이 존재하지 않던 약리유전체학(pharmacogenomics)이 요즘 생물공학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송대의 ‘양휘산법’에서 제시된 기존의 것들과 다른 독창적인 마법진들을 만들었다는
사실
만 보더라도 양휘의 마법진의 구성원리를 완전히 소화하고 있었다는 증거다.마법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개념적인 이해가 특히 필요한 수학분야는 정수론 분야다. 김용운 교수는 최석정이 정수의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920년 마이컬슨이 간섭계로 별의 지름을 측정해 반지름이 태양의 3배나 된다는
사실
을 밝혀냈다. 청백색의 리겔은 아라비아어로 ‘거인의 왼발’을 뜻하는데, 0.1등급으로 6번째로 밝고 절대등급도 -7.1등급이나 되는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의 하나다.큰개자리와 작은개자리시리우스와 4개의 2등성 등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동작할 때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말이다.일반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램은 D램이나
사실
램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우선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은 1비트의 정보를 기억하는데 1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커패시터가 필요하다. 커패시터의 충전 여부에 따라 데이터를 기억한다. 커패시터의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고릴라인 킹콩의 출현이다.킹콩은 지난 40년간 유인원을 극도로 상징화했다. 재미있는
사실
은 실제의 고릴라는 킹콩을 닮지 않았다는 점이다. 오랑우탄과 침팬지 또한 영화에서 그려지는 이미지와 다르다. 우리는 지금까지 유인원에 대해 많은 연구를 했지만 아직도 모르는 것 투성이다.현재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많이 보여줄 수 있는 눈이다. 중력은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에 작용하는 만유의 힘이라는
사실
을 모르는 사람이 다음 시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느낄 수 있을까.우리는 어디로 갔다가 어디서 돌아왔느냐 자기의 꼬리를 물고 뱅뱅 돌았을 뿐이다 대낮보다 찬란한 태양도 궤도를 이탈하지 못한다 ... ...
방사성 쓰레기가 갈 곳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나눈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원자로에서 타고 남은 핵연료를 말하며, 이는
사실
상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재처리를 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사용후 핵연료를 사고파는 경우도 많다.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핵연료에서 나오는 방사선(중성자)의 ... ...
이전
1085
1086
1087
1088
1089
1090
1091
1092
10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