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공학"(으)로 총 1,3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04.17
- 짧은 기간 붉은 빛을 발하며 자신의 존재를 확실히 내보이고는 시들어버리는 장미는, 우리에게 그저 아름다움을 뽐내는 존재였다. 하지만 최근 이런 장미를 전자 회로로 만들어버린 괴짜 과학자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장미 안에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주입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충전할 수 있는 ‘ ... ...
- 바이러스인데 생물같은,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7.04.07
- 연구진이 새로 발견한 거대바이러스 '클로스노이바이러스'의 현미경 이미지. - 사이언스 제공 생물에 대한 정의를 뒤흔들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소설 속 프랑켄슈타인 박사가 무생물에 생명을 부여해 괴물을 만든 것처럼, 이 바이러스는 생물이 아니면서도 생물과 유사한 특성을 ... ...
- 암 전이에 핵심 역할하는 줄기세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2017.04.02
- 네이처 제공 3월 29일자 ‘네이처’ 표지에는 암 줄기세포가 등장했다. 최근 일부 줄기세포가 암의 발달과 전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암을 치료하기 위해 줄기세포의 역할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하다. 미국의 생명공학업체인 ‘제넨테크(Genentech)’ 부회장인 프레데릭 ... ...
- 두리안 ‘X냄새’가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7.03.30
- “바닐라 커스터드를 변소에서 먹는 것 같다.” 영국의 소설가 앤서니 버제스는 두리안의 향을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두리안은 끈적끈적하고 부드러운 과육이 천하일미인 ‘과일의 여왕’입니다. 하지만 세계 유일무이한 향, 정확히는 악취 때문에 혐오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습니다. 도대체 어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예리한 관찰과 정밀한 실험이 잘 알려진 단백질의 예상치 못한 기능을 밝힐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리처드 팔미터 1950년대 미국 잭슨연구소의 연구자들은 특이한 돌연변이 생쥐를 얻었다. 이들은 식욕을 주체하지 못해 고도비만이 된 이 녀석에게 뚱보(obese)라는 이름을 붙여줬고 줄여서 ob생 ... ...
- 국내 최연소로 ‘노벨상 펀드’ 받는 김성연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7.03.20
- 기능을 밝힌 ‘뇌 백과’를 완성하는 게 목표입니다.” 김성연 서울대 화학부(유전공학연구소) 교수(32)가 17일 연구책임자(PI)로서는 국내 최초로 ‘휴먼 프런티어 사이언스 프로그램(HFSP)’의 2017년 연구비 지원 대상자에 선정됐다. 그는 한국인 과학자 중 최연소 HFSP 수혜자이기도 하다. ... ...
- 에너지 없이 지붕 식히는 필름?과학동아 l2017.03.13
- 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 제공 뜨거워진 물체를 추가 에너지 투입 없이 식힐 수 있는 신소재가 개발됐다. 미국 콜로라도대 기계공학과 연구팀은 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띠는 절연체인 유전체(dielectric material)로 만든 미세한 유리구슬을 고분자 필름 안에 무작위로 삽입했다. 그 결과 태양에서 오는 ...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사이언스 제공 세포핵을 가진 최초의 인공생명체 개발이 전환점을 돌았다. 국제 공동 연구진이 유전체 정보를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레시피’를 완성하고, 목표로 한 효모 게놈 16개 중 5개를 추가 합성했다. 미국, 중국, 프랑스, 영국 등 200여 명으로 구성된 ‘효모 합성유전체 프로젝트(Sc2.0 ... ...
- ‘단세포 인공생명체’ 눈앞에 성큼동아사이언스 l2017.03.10
- ‘합성효모게놈(Sc2.0) 프로젝트’ 국제 연구 컨소시움은 맥주효모균(Sc)의 유전정보를 토대로 Sc의 게놈을 이루는 염색체 16개 전체의 합성법을 완성하고, 이 중 6개를 실제로 인공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 사이언스 제공 ‘단세포 생물을 인공으로 합성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그렇다’고 답할 ... ...
- ‘킹콩’을 유전공학으로 만들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3.10
- 높은 혈압을 견뎌야 한다. 그렇다면 킹콩 같은 거대 포유류 탄생은 완전히 불가능할까. 유전공학이 고도로 발전한 미래라면 킹콩과 비슷한 동물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볼 여지는 조금이나마 남아 있다. 우선 여러 개의 심장이 필요하다. 체구가 커지면서 생기는 높은 혈압과 심장의 부담을 분담해야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