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뉴스
"
유전공학
"(으)로 총 1,38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해외 앱들
과학동아
l
2017.07.27
당신의 스마트폰이 의사가 된다. 스마트폰의 다양한 장치와 센서를 활용하면 따로 측정기를 달지 않아도 간편하게 질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다. 스마트폰만으로도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앱)과 숨은 과학적 원리를 소개한다. GIB, 과학동아 제공 카메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고온다습(高溫多濕). 아무 거나 머리에 떠오르는 대로 사자성어 하나를 말하라면 이런 엉뚱한 답을 할 것만 같은 후덥지근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작년처럼 간다면 앞으로 한 달은 이런 날씨를 견뎌야 하는데 걱정이다. 매인 곳이 없는 프리랜서라는 이점을 살려 8월에는 ‘홋카이도(北海道) 한달 ... ...
실험실에서 만든 인공장기, 실제와 얼마나 유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18
메디컬그래픽스 제공 신약 평가 등을 위해 만든 인공 장기가 실제 장기와 얼마나 유사한지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개발됐다. 인체 조직과 더 비슷한 인공장기 개발이 가능해지리란 기대다. 조현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희귀난치질환연구단 선임연구원 팀은 간 유사체의 분화 수준 및 ... ...
피부세포→신경세포 변신시켜 파킨슨병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8
손상된 세포를 되살려 불치병을 치유하는 기술로 흔히 줄기세포가 꼽힌다. 하지만 세포를 줄기세포로 되돌렸다가 원하는 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이 복잡해 실용화가 더디다. 나노 기술을 이용, 손상된 세포에 줄기세포를 주입하지 않고 주변 세포를 직접 필요한 세포로 바꾸는 기술을 국내 연구 ... ...
대한민국 스타과학자의 산실, 젊은 과학자상 20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7.07.14
젊은 과학자상은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연구와 개발 실적이 뛰어난 젊고 유능한 과학기술자를 발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1997년에 만들어졌다. 만 40세 이하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에 근무하고 있으며 최근 5년 이내에 우수한 연구 실적이 있는 과학자라면 누구나 수상 자격이 있다. 수상자에게 ... ...
물은 정말 무(無)맛일까?
과학동아
l
2017.07.13
GIB 제공 물에도 맛이 있을까. 많은 곤충들이 물의 맛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포유류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생물학및생명공학과 유키 오카 교수팀은 신맛을 인식하는 수용체가 물의 맛을 느끼는 데 큰 역할을 한다고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5월 29일자 ... ...
“아이는 엄마의 성을 따라야 한다”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2017.07.04
GIB 제공 6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한 ‘알쓸신잡’이 인기입니다. 각 분야의 전문가 5인이 수다를 떠는 형식의 예능 프로그램인데요. 방송에서 제 귀를 사로잡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첫 방송에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생물학적으로 아이의 성은 ... ...
뇌과학과 피아노의 만남? 색다른 과학강연 ‘사이언스바캉스’
과학동아
l
2017.06.28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과학동아’가 기획하고 동아사이언스와 서울대 공대가 공동 주최하는 여름 과학 강연 축제 ‘사이언스바캉스’가 다음달 29일 토요일에 서울대 문화관에서 열린다. 3회째를 맞는 사이언스바캉스는 과학동아가 선정한 그 해의 주요한 과학, 공학 이슈를 분야 최고의 전문 ... ...
혈액으로 암 진단? 2017년 떠오르는 10대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7.06.27
Wikimedia Commons 제공 혈액 분석으로 간단히 암을 진단하는 액체 생체 검사법과 대기 중에 떠다니는 수분을 이용해 깨끗한 물을 얻는 기술, 의료영상 판독 등 시각자료 처리를 위한 인공지능(AI) ‘딥러닝’ 기술이 새롭게 떠오를 전망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은 27일 중국 다롄에서 막을 올린 ‘2017 ... ...
항생제 내성 생기는 건 ‘박테리아의 섹스’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6.19
Pixabay 제공 약을 써도 치료 효과를 볼 수 없게 하는 ‘항생제 내성’이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박테리아가 항생제 내성을 갖게 되는 원리를 규명했다.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덴마크공대(DTU)와 공동으로 항생 물질을 만드는 방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