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일본, 우주에 머물기 위한 필수품, 우주화물선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가 그 주인공이다. 1988년 옛 소련이 발사한 포보스 2호가 교신이 끊기기 직전에 태양 반대쪽의 화성 대기에서 산소의 존재를 확인한 뒤 화성 탐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고, 이때부터 일본도 화성을 포함한 행성 탐사 계획인 노조미 프로젝트를 계획했다. 오랜 준비 기간을 거친 노조미는 199 ... ...
- 탐험┃소행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 말로 ‘극복의 땅’을 뜻하며, 당시 알려진 세상의 경계인 먼 북쪽 지역을 말한다. 최대 길이가 35km가량인 눈사람 모양의 얼음형 소행성으로 확인된 울티마 툴레는 45억 년 전 태양계 형성 당시의 단서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뉴호라이즌스가 보낸 데이터를 토대로 ... ...
- 아폴로 8호, 역대 가장 무모한 임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틀린 표현이다.달은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약 27.3일로 같아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한쪽 면만 보게 된다. 다시 말해 달에서는 지구가 뜨거나 지지 않는다는 의미다. ‘지구돋이’ 사진은 달 궤도를 도는 우주선에서 촬영했기 때문에 마치 지구가 달의 지평선 너머로 뜨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효과가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안드로메다 은하를 비롯해 많은 은하에서 이런 모습이 관측됐다.더불어 많은 은하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뒤틀린 ‘S’자 모양을 하고 있다. 우리은하 역시 S자 모양을 하고 있는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태양계우리가 사는 지구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약 46억 년 전, 우리은하에서 하나의 항성이 ... ...
- 탐험┃중국, 달 뒷면 찍고, 다음은 화성으로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착륙시키며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창어 4호는 2019년 1월 탐사 로봇 위투 2호(오른쪽)가 활동하는 모습을 담은 달 뒷면의 파노라마 사진을 최초로 공개했다. 중국의 다음 목표는 화성이다. 2021년 그 첫 번째 도전이 시작될 예정이다 ... ...
- 상어가족보다 힘센 동물은 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등을 먹는 동물이에요.캐나다 토론토대학교의 조나단 루퍼트 연구원은 호주 북서쪽 해안의 두 산호초 지역을 10년 동안 조사했어요. 그 결과 남획으로 상어의 수가 줄어든 곳에서 초식 어류도 줄어든 것을 발견했지요. 상어가 줄어 도미와 같은 중간 포식자가 늘어나자, 이들의 먹이인 파랑비늘돔과 ... ...
- 오퍼튜니티, 성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그래서 암석의 조성을 분석하는 여러 장비가 로봇 팔에 탑재됐지요. 팔 가장 바깥쪽 ‘암석연마장비(RAT)’는 두 개의 날을 빠르게 회전시켜 먼지나 불순물을 걷어내고, 현미경카메라는 암석의 확대된 모습을 찍어요. 또 분석에는 알파선과 X선으로 암석의 구성원소를 알아내는 ‘알파입자X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고무줄 탄성을 이용해 총알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원리도 이용되었죠. 무거운 추를 반대쪽에 놓거나 수많은 사람이 모여 발사대 반대쪽을 잡아당겨 돌을 멀리 날린 거예요. 이러한 투석기는 르네상스 시대, 화약을 사용하는 대포가 발전하면서 더는 전장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답니다.그렇다고 투석기가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에요! 작년 8월, ...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가치가 높아진 이유다. ▲ 강화도에 위치한 강화갯벌센터에서 박흥식 KIOST 책임연구원(왼쪽 서 있는 사람)이 바다의 탄소 순환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유해생물 갯끈풀의 재발견이제 직접 갯벌에 발을 담글 차례다. 강연에 참여한 학생들은 KIOST에서 마련한 버스에 올라탔다. 3km 남짓 달렸을까. ... ...
-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과 TRP-2의 기능이 고장나도록 돌연변이를 유도한 예쁜꼬마선충은 직진하지 못하고 왼쪽으로만 움직였다. 김 교수는 “TRP-1과 TRP-2를 모두 망가뜨리면 예쁜꼬마선충에서 몸통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기수용감각이 활성화되지 않았다”며 “TRP-1과 TRP-2가 몸통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머리 근육을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