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핵분열 반응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손실된 질량만큼 에너지가 생성되고, 터빈을 돌려 전기에너지를 얻는다. 원자력 발전은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핵분열 반응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면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즉, 연쇄반응을 제어하는 것이 원자로 안전을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공격성을 보이는 개의 행동치료 1원칙은 ‘어떤 형태이든 체벌 금지’다. 초크체인이나 전기충격목걸이로 공격행동을 교정하려다 괜히 개를 예측 불가한 위험한 상태로 내몰 수 있다. 사회화 교육이 답일까?‘공격적인 개는 사회화 교육이 필요하다’ ‘개가 공격성을 보이는 이유는 집안에서 ... ...
-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걷기 시작하는, 말 한 마디로 조종이 가능한 로봇의 탄생이 멀지 않았다. 오성회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사람의 말과 행동 간의 관계를 스스로 습득하는 인공신경망인 ‘텍스트투액션(Text2Action)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이 인공신경망에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는 문장을 입력하면, 스스로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개미도 겨울잠을 잔다. 11월 중순에 사람이 보일러를 틀고 장롱 속 전기장판을 꺼내듯 개미도 이맘때 월동 준비를 한다. 이 때 개미들은 단백질성 먹이를 주로 섭취한다. 단백질을 이용해 서둘러 산란을 해서 새로운 세대가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날 수 있게 준비시키고, 남은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 거짓말을 할 때 나오는 특정 뇌파가 있다면 이것을 알아내고, 진실을 말할 때까지 전기로 고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뇌에서 흐르는 전류를 분석해 사람의 감정을 파악하고 이것을 로봇의 표정으로 변환하는 연구는 실제로도 이뤄지고 있다. 원작자인 마스턴은 원더우먼이라는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래핀 박막을 코팅하는 방식을 새로 개발했다. 구리나노선을 넣은 진공 장치에 전기장을 걸어 플라스마 상태를 형성한 뒤 메탄 가스를 주입하면 섭씨 400도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그래핀 박막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이용했다. 그래핀으로 코팅한 구리나노선으로 투명전극을 만들어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로봇과 함께하는 재미있는 코딩! ‘E-센서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코딩’이란 말만 들어도 머리가 지끈지끈한 친구들 있죠? 하지만 ‘E-센서로봇’과 함께라면 어렵고 복잡하게만 느껴지는 코딩을 쉽고 즐겁게 배울 수 있어요! 섭섭박사님과 기자단 친구들이 함께 만든 E-센서로봇을 보며 코딩의 즐거움을 느껴 봐요! ...
- [과학뉴스] 전통 한지로 ‘종이 전극’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저장 용량을 늘릴 수 있다. 연구팀은 한지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코팅해 전기전도도 또한 높였다. 이 기법은 ‘단분자 리간드 층상자기조립법’으로 불린다. 조 교수는 “나노입자를 직물 소재에 직접 코팅해 전극을 제작한 최초의 사례”라며 “웨어러블 전자 소자 시장에 새로운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건 양자역학을 조금도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양자역학과 전자기학을 통합해 양자전기역학을 구축한 공로로 196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천재’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말이다. 천재마저 이렇게 이야기할 만큼, 양자역학은 만만치가 않다. 양자를 이용해 연산하는 양자컴퓨터의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동반한다. 그리고 초강력 전기장을 가진 플라스마 파동은 거의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 이 전기장에 하전 입자들을 실어 보내면 고에너지 가속 입자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하전 입자를 매우 짧은 거리에서 고에너지로 가속할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가속기의 크기를 현재의 100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