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6화] 설탕이 잘 녹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반대로 전자가 멀어진 수소는 양전하(+)에 가까운 성질을 띠지요. 이렇게 분자 안에서 전기적 성질이 양전하와 음전하로 나뉘는 것을 ‘극성’이라고 해요. 극성을 띤 물은 극성을 띤 물질을 녹이기 쉬워요. 예를 들어 극성을 띠는 설탕은 물에 들어가면 쉽게 녹아요. 물 분자의 산소(-)가 설탕 ... ...
- 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1호기는 지난 2007년, 30년의 설계 수명이 만료된 이후에도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10년 더 전기를 생산해 왔어요. 하지만 2011년 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일어났어요.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지요. 2015년, 정부는 고리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이동하고, 소리는 1초에 약 340m를 이동해요. 번개는 구름과 구름, 구름과 땅 사이에서 전기를 띤 입자가 공기 중을 이동하면서 빛을 내는 현상이고, 천둥은 번개 때문에 주변 공기가 크게 팽창하며 나는 소리예요. 따라서 번개는 1초에 약 30만km를, 천둥소리는 1초에 약 340m를 이동하지요.한편 속력,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연 ‘수중로봇 복합실증센터’예요. 바닷속 깊은 곳에 석유 시추 장비를 설치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 낼 풍력 발전소 시설을 설치하는 수중건설로봇을 시험하는 곳이지요. 가벼운 로봇은 1.5t 정도, 무거운 것은 30t 이상인 수중로봇을 바다로 운반하기 전 수조에 넣고 이상이 없는지를 먼저 ...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형상기억 폴리머는 100℃ 이상이 되면 수축하는 성질이 있답니다.로봇을 작동시키면 전기 히터가 가열되면서 형상기억 폴리머가 수축해요. 근육이 수축하면서 팔이 구부러지듯, 형상기억 폴리머가 수축하면 납작했던 판이 선을 따라서 스스로 접히기 시작한답니다. 4분 뒤에는 완전히 모양을 ... ...
- [과학뉴스] 버려지는 양파껍질로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효율이 61.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뭇잎이 바람에 움직이는 것 정도의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만큼 민감했고, 여섯 개의 장치를 이용해 LED 전구 73개의 불을 밝힐 수 있었다. 김 교수는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자연 원료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소자를 개발했다”며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관을 2개 뚫고, 여기에 물을 주입한 뒤 물이 데워지면서 발생하는 증기(열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도록 설계됐다. 그런데 깊은 땅속까지 물을 보내는 과정에서 수압이 높아진다. 그 압력에 의해 물이 지각에 틈을 만들어 갈라지게 만들고 땅속을 지속적으로 자극해 작은 지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공격성을 보이는 개의 행동치료 1원칙은 ‘어떤 형태이든 체벌 금지’다. 초크체인이나 전기충격목걸이로 공격행동을 교정하려다 괜히 개를 예측 불가한 위험한 상태로 내몰 수 있다. 사회화 교육이 답일까?‘공격적인 개는 사회화 교육이 필요하다’ ‘개가 공격성을 보이는 이유는 집안에서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일부분만 뛰면서 박동에 불균형이 생기고 결국엔 혈액 펌프질이 멈춥니다. 그 직전에 전기적인 쇼크를 주면 펌프질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항공기나 공항, 지하철역과 같은 시설에 의무적으로 구비된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이 경우 유용하게 쓰이죠. 다만, 자동심장충격기로 심장충격을 실시할 때는 ... ...
-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걷기 시작하는, 말 한 마디로 조종이 가능한 로봇의 탄생이 멀지 않았다. 오성회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사람의 말과 행동 간의 관계를 스스로 습득하는 인공신경망인 ‘텍스트투액션(Text2Action)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이 인공신경망에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는 문장을 입력하면, 스스로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