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21세기 시시포스의 도전 줄기세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절벽에서 굴러 떨어지면서도 끝내 포기하지 않고 바위를 밀어 올리는 것처럼, 줄기세포 연구자들의 노력은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벼랑 끝 이후 10년, 줄기세포 치료제를 향한 여정은 얼마나 진행됐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시시포스의 도전 줄기세포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쏟아져 나왔다.‘야마나카 인자’ 도입으로 문턱을 낮추다 그래도 아직 2% 모자랐다. iPS 연구자들은 직접교차분화가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선뜻 진입하기 어려워했다. 유전자 때문이었다. iPS는 ‘야마나카 인자’만 있으면 만들 수 있었다. 야마나카 교수는 ...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연구자가 1cm 두께의 ‘물 먹는 재료(왼쪽)’를 들고 있다. 오른쪽은 모델이 된 나미브 사막 딱정벌레. 등으로 공기 중의 물을 모아 마신다.]빨래를 한 뒤 젖은 옷을 들고 두 손으로 꼭 짜면 물이 나온다. 만약 공기 속에 있는 물을 이런 식으로 뽑아낼 수 있다면 어떨까. 아무리 건조한 환경에서라도 물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올인’하는 일본에 당연히 밀린다. 그러다보니 상대적으로 성체줄기세포 치료제로 연구자들이 몰렸고, 이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세계 258건의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연구 중 우리나라는 40건으로 2등이다. 136건으로 1등인 미국에 비하면 30% 수준이지만 다른 나라에 비하면 월등히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케미’ 4월 9일자에 발표했다. 그래핀은 전도도가 높아 고용량 전지를 만들려는 연구자들이 예전부터 주목하던 물질이다. 그러나 충전이나 방전이 일어나는 ‘전극활물질’ 표면이 불규칙해 그래핀을 코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흑연과 전극활물질을 함께 갈아 그래핀을 만드는 방식을 ... ...
- 가면을 쓰는 비용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숨기지 않은 사람보다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졌다(정답을 맞춘 비율 57% vs. 47%). 이후 연구자들은 여러 실험을 통해 지구력, 주의력 등 다양한 인지능력과 사회성도 타격을 받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잠깐이지만 자신을 숨기는 것의 대가는 상당히 컸다.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 사람들은 자신의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천문학자들은 신화 속의 이름을 좋아한다. 태양계에서 발견된 행성과 위성에도 신화 속 이름이 많다. 태양에서 5번째로 먼,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목성)의 이름은 주피터(그리 ...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스마트 메타물질 특별세션이 마련됐다. 물론 김 교수가 초청됐다. 전세계 메타물질 연구자들 앞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우연히 얻은 새로운 아이디어 김 교수는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성능을 업그레이드했다. 스폰지 형태의 투명망토는 어느 정도까지는 모양을 변형해도 은폐 기능을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불필요하게 희생되는 쥐의 숫자를 줄이기 위해서다. 현재 대부분의 연구방식은 쥐에게서 연구자가 보고 싶은 하나의 형질을 보는 것에 그친다. 극단적으로 예를 들자면, 10가지 형질을 보기 위해 10마리의 쥐를 사용한다는 얘기다.연구 측면에서도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유전자 한 개가 고장 ... ...
- 과학의 탈을 쓴 손금쟁이…, 아니 지문쟁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걸 아시겠죠? 아주 중요한 한 가지. 바로 지문과 적성의 연관성 말입니다. 발표연도와 연구자 이름까지 명시하면서 지문에 대한 연구를 늘어놓고 있지만, 정작 지문과 적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언급조차 없습니다.근거 없는 원리제가 파악한 이들의 논리를 간단히 요약하면 이렇습니다.“지문은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