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앞"(으)로 총 1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뉴스] 메뚜기 친구 풀무치 10번째 먹는 곤충 됐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거예요. 영양가 있고, 먹어도 안전하고, 키우기도 쉬워서 식용곤충으로 인정했지요. 앞으로는 말린 풀무치를 사서 먹거나, 가루로 만든 풀무치를 반죽에 넣어 쿠키로 만들어 먹을 수 있지요. 벨기에와 스위스에서도 풀무치를 식용 곤충으로 인정하고 있어요 ... ...
- [어수동 찐팬을 만나다] (2)수학으로 동물을 구할 거예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기자단 게시판에 ‘펫샵에서 동물을 사면 안 되는 이유’라는 기사를 쓰기도 했어요. 앞으로도 동물을 보호하는 활동을 많이 하고 싶어서 수의사가 되고 싶어요. 수의사가 되려면 수학도 잘해야 한다고 들었어요. 을 통해 수학과 점점 친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 ... ...
- [JOB인터뷰] 춤에도 수학이 필요해! 김설진 무용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그런데 사람처럼 아픔을 느끼는 괴물이라면 장애물에 부딪힐까 두려울 거예요. 앞이 안 보이니까 천천히 벽을 손톱으로 긁으며 비틀비틀 걸어가는 연기를 펼칠 수 있지요. 3. 괴물의 특징을 떠올리기만약 좀비를 나타낸다면, 좀비가 살아있는 시체라는 점에 주목해봐요. 우리는 편하게 할 수 있는 ... ...
- 넷플릭스가 안줘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오징어 게임 오락기'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아이디어가 떠올랐는지 갑자기 사무실로 뛰어들어갔습니다.숨숨 님이 보던 장면은 바로 앞에서 소개한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게임을 하는 대목입니다. 무표정한 얼굴로 게임 속 참가자들을 감시하는 귀여운(?) 영희의 얼굴이 인상 깊습니다. 넷플릭스가 만든 공식 굿즈에도 이런 영희의 ... ...
- [인터뷰] "여성 과학도들이여, 끈질기게 버텨라”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부품들은 고장 나기 때문에 우주공간에 방사선 입자들이 어떻게 분포하는지 파악하고 앞으로의 분포를 예측하는 일은 매우 중요해요.” 도요샛 프로젝트의 궁극적인 목적도 고에너지 전자 관측이다.황 연구원은 우주방사선이 위성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사람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했다.“200 ... ...
- [인터뷰] 수학을 사랑한 어린이, 인기 금융 유튜버가 되다! 최민 크레이에이터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수학자나 금융인처럼 정해진 진로 외에도 다양한 진로가 있다는 걸 강조하면서요. 앞으로도 여러 종류의 콘텐츠로, 금융 지식을 전달하고 싶다는 최 크리에이터, 그의 조언을 대신 전합니다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씹고 뜯고 맛보며 즐기는 수학의 매력을 알려드릴게요!수학동아 l2021년 12호
- KAIST에서 수학과가 아닌 전산학부로 진학했지요. 자유롭게 수학을 즐기기 위해서였어요. 앞으로 최 작가의 계획은? 최 작가는 수학 스토리텔러로서 두 가지 목표를 세웠습니다. 첫 번째는 수학이 단순한 숫자 놀이가 아니라, 궁극적인 질문에 다가가는 열쇠라는 사실을 알리는 겁니다. 두 번째는 ... ...
- [과학 뉴스] 서울에서 열린 'P4G 정상회의' 녹색 미래를 그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거부 의사를 표현했어요. 사전 행사가 진행되고 있던 27일에는 썩은 당근을 행사장 앞에 쏟는 퍼포먼스가 화제를 일으키기도 했답니다. ●IoT : ‘Internet of Things’의 약어로, 사물끼리 모두 인터넷으로 연결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기술 ... ...
- [4컷 만화] 해조류 덕분에 40년 만에 시력을 찾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일부 되찾게 했다고 밝혔어요.실험에 참여한 시각장애인은 망막색소변성증●으로 40년간 앞을 보지 못했어요. 망막에서 빛을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단백질인 옵신이 없어서 빛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전기신호를 뇌로 전달하는 신경은 정상적으로 작동했어요. 연구팀은 옵신을 만들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소셜미디어를 통해 사회활동을 할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사라진다면 세상은 한층 단조롭고 외로워질 거예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앞으로도 더 다양한 종류의 소셜미디어가 더 확장된 기능을 통해 디지털 시민들과 만나게 될 것입니다. 필자소개 이진석(부산 명덕초 교사)부산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재를 다수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