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바이러스
는 폴리아민이란 양전하를 띠는 분자로 DNA나 RNA 같은 핵산의 음전하를 중성화해
바이러스
껍질 속에 압축해 넣는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결정을 만들 때 폴리아민을 넣어줬더니 고품질의 tRNA 결정이 만들어지더군요.”우연한 독서를 필연으로 만든 김 교수의 의지가 밝혀낸 tRNA의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DNA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벤터 박사는 이미 2003년에 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인 박테리오파지 ΦX174의 유전체 DNA(약 5.4kb)를 2주 만에 합성하는데 성공한적이 있었는데, 이번에 그보다 약 100배나 긴 DNA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는 것이다.그는 합성한 최소유전체를 이용해 몇 주안에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1976년 들쥐에서 이 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를 발견한다. 그는 통일의 염원을 담아 한타
바이러스
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1989년에는 이 병을 예방하는 백신까지 개발했다.사이언스 시간여행 미래속으로소행성은 우리가 막는다영화‘아마겟돈’에는 커다란 소행성이 지구에 다가온다. 일부가 지구에 ... ...
뜨아! 꿀벌 초토화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최근호에 소개된 뉴스로, 꿀벌의 집단 실종 원인이 ‘이스라엘 급성마비
바이러스
’ 라는 연구 결과가 실려 있었다.“하지만 냥냥, 여기 꿀벌들은 단순히 사라진게아니라 처참하게 죽어 있어. 그러니까 누군가 일부러 죽였단 얘기지.”“흑흑~, 내 소중한 꿀벌들이 뎅강뎅강 잘려 있어요 ... ...
광견병
바이러스
로 뇌 장벽 뚫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광견병
바이러스
가 뇌장벽을 뚫고 뇌세포를 감염시키는 성질을 이용한 거죠. 물론
바이러스
의 단백질 조각을 이용했기 때문에 우리 몸에 해롭지 않답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뇌질환을 더 잘 치료할 수 있을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인플루엔자, 두창 천연두 등의 유행성 전염병과 뇌염 소아마비 등을 일으키는 것도 모두
바이러스
이다수은에 다른 금속을 섞어서 만든 합금 백금이나 철, 니켈 그리고 망간, 코발트 등을 제외한 나머지 금속들은 모두 녹여서 아말감을 만들 수 있다 수은을 너무 많이 쓰면 액체가 되지만 보통은 ... ...
고대
바이러스
로 에이즈 백신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캘리포니아대(UCSF)와 캐나다 토론토대 공동연구팀은 HERV 백신으로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인 HIV를 파괴하는 방법을 ‘공공과학도서관 병리학’(PLoS Pathog) 11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T세포에 들어간 HIV가 HERV를 억제하고 있는 제어시스템을 교란시켜 HERV가 발현하도록 유도한다고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많다 일례로 대상포진(
바이러스
에 의한 수포성 질환)에 걸린 나이든 사람의 경우 항
바이러스
제제를 사용하며 낫기를 기다리다가 무서운 신경통으로 시달리기 쉽다 만일 발병 즉시 성상신경절 차단이나 경막외강내 차단을 하면 대부분 후유증을 방지할 수 있다 삼차신경(얼굴 감각을 지배하는 신경)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수명은 2∼3일 밖에 안 된다 림프구는 γ-글로블린을 함유하여 항체(抗体)를 생성한다 또
바이러스
를 잡아먹는다파충류 조류 포유류와 같은 척추동물의 양막류와 무척추동물인 곤충류의 배(胚)에서 볼 수 있는 배막(胚膜)의 일종 배체(胚体)의 바로 바깥쪽을 싸고 있는 것으로 배체와의 사이에는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찬사가 쏟아졌다. 1976년 이호왕 박사가 유행성출혈열의 원인병원체를 발견해 ‘한탄
바이러스
’라고 이름 붙인 이래로 한국인이 지은 병명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기는 처음이었다. 그러나 다음부터가 가시밭길이었다. 우리나라에서 CMTX5병을 앓는 환자는 단 한 가족. 세계적으로 발병기록조차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