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 세계 독감 진원지 동아시아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남미까지 퍼져 나가며 지구순환을 마친다는 것.이 결과에 대해 세계보건기구(WHO)의 독감
바이러스
전문가 게이지 후쿠다는 “정말 놀라운 논문”이라며 “독감의 피해를 줄이려면 아시아에서 조사활동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C제로를 방출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유전정보로서 단쇄(單銷) RNA를 가진 종양(腫瘍)
바이러스
의 총칭 역수값이나 계산 명령을 나타내는 일련의 2진숫자의 기억장치 1963년 F 자코브에 의해 제창된 염색체 복제의 조절 기구에 대한 작업가설 자율적 복제 단위를 레플리콘이라 한다 예컨대 대장균의 ... ...
“무서운 주사기, 안녕~!”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접종하고 관찰했어요. 그 결과 생쥐의 폐에서 강력한 면역 반응이 일어나 독감
바이러스
에 감염되지 않는다는 걸 확인했죠.혀 밑을 이용한 백신 접종법은 주사기를 이용하거나 코 점막으로 투여하는 일반 접종법보다 면역 반응이 빠르고 접종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물론 전혀 아프지도 않죠.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대신 우리 몸의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무시무시한 병균이 자리 잡지 못하게 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는 적이 아니라 우리를 귀찮게 하는 친구가 아닐까.영국 요크대 공생학자 안젤라 더글러스 교수는 “우리는 종간의 상호관계가 안정돼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관계를 상호공생, 편리공생,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높고 냉각속도가 알맞으며 냉각효율이 양호해야 한다 담배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
1892년 D I 이바노프스키가 발견했고 이와는 별도로 1898년 M W 비제린크도 발견했다당뇨병이 진행되는 동안 탄수화물 및 지방의 대사장애(代謝障碍)를 일으켜 중추신경의 기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방사광 가속기를 이용해 3차원으로 규명했다. Rb단백질에 이상이 생기는 원인은 외부
바이러스
의 침입으로 추측되지만 아직 그 메커니즘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하지만 조 교수의 연구 덕분에 안암이나 자궁경부암 환자를 Rb단백질을 이용해 치료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구조생물학자인 ... ...
소프트웨어, 데이터백업 사라지는 클라우드 컴퓨팅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소프트웨어 버전이 다르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도 하고, 때마다 보안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
감염 위험은 없는지 확인도 한다. 응용프로그램이 많아질수록 메모리도 늘려야 한다. 컴퓨터를 유지하는데 돈이 많이 드는 것은 물론이고 시간도 많이 투자해야 한다.클라우드 컴퓨팅에서는 이런 모든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해당하는 병원체를 없애기 위해 항체가 만들어진다. 혈청면역검사는 이들을 검출해
바이러스
가 있는지 사실을 알아낸다.서장수 교수는 “지금까지 혈액 검사는 주로 혈액의 생화학적 특성에만 치중했다”며 “적혈구의 점도나 변형능, 응집성도 질환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 ...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언제 왔다가 언제 갔는지도 모르게 우리의 지갑을 털 수 있다. 이런 소매치기들은 마치
바이러스
나 박테리아와 같다. 우리 몸을 지키는 백혈구나 항체가 잠시라도 무방비 상태에 있으면 이들이 언제 어디서 침입해 질병을 일으킬지 모른다.사실 ‘무방비 도시’에는 우리 눈에 낯설지 않은 질병을 ... ...
자몽의 쓴맛,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해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교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가 VLDL에 달라붙어 감염된 간세포를 빠져나가는 것은
바이러스
가 간을 계속 감염시키기 위한 핵심적인 경로”라며 “나린제닌을 C형 간염 치료제와 함께 사용하면 치료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