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영상"(으)로 총 1,3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신경회로망의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있다. 연구단이 주로 활용하는 MRI, 광학영상 등에 필수적인 요소가 바로 바이오마커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나노 조영제는 나노물질과 특정 단백질, 형광 물질 등을 조합해 만든다. 나노 조영제는 뇌 활성화 부분을 측정하거나 암세포를 관찰하는 등 ... ...
- 서운한 마음 표현하는 게 좋을까?2016.01.20
- Butler와 동료들(2003)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사람들에게 분노나 슬픔을 불러일으키는 영상을 보게 한 후 다른 사람과 짝을 지어 대화를 하게 한다. 이때 한 조건의 사람들은 감정을 억누르고 이야기를 하게 하고, 한 조건의 사람들은 별 다른 지시 없이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하게 한다. ... ...
- 나를 위한 건강 검진, 경제적으로 똑똑하게 하는 법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높아지면서 치매와 관련된 검진 항목에 대한 궁금증도 많다. 치매는 뇌 MRI(자기공명영상)나 뇌 CT만으로는 진단할 수 없고 의료진의 인지기능평가와 상담이 필요하다. 따라서 치매에 대한 검진을 원한다면 검진 받는 기관이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곳인지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패키지 ... ...
- 영화 속 스파이가 실제 원자력 시설에 침투할 수 있을까?2015.12.22
-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외부 침입 탐지 센서의 신호와 외부 카메라의 영상이 전송되어 원전시설의 중앙통제실 기능을 똑같이 구현한다. 특히 3D 가상현실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비디오 관리 시스템과 침입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좀 더 정확하게 눈으로 볼 수 있다. SETT/CAS ... ...
- 섬 모양을 통해 새로운 상상력 발현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원유 유출 사고가 발생했을 때 관련 지역 피해 현황 파악을 위해 고해상도 항공 영상을 구매했고, 사진을 보며 사고 지역 해상을 관찰하던 도중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일본 지도를 닮은 가이도가 눈에 띈 것이다. 최 실장은 “이때 처음 우리나라 섬 지형에 여러 가지 형태를 대입해 볼 수 ... ...
- ”누구나 편리하게 위성자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24시간 내내 한 곳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같은 위치에서 낮 동안에 여러 번 같은 바다의 영상을 제공합니다. 바다를 분석할 수 있는 해색데이터의양과 질이 차원이 달라지지요. 한편으로는 제 능력으로 고국에 기여한다면 바로 이 때다 싶었죠.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해색위성이라 해외에서의 ... ...
- 바다의 총천연색 속살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전구를 관측할 수 있으며, 관측파장 대역은 370~900 nm이다. 이와 같이 공간적으로 세밀한 영상을 하루에 총 10회 관측할 수 있어 천리안에 비해 훨씬 촘촘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새로운 위성과 함께 해양위성연구센터 역시 업그레이드된다. KIOST가 부산으로 이전하면서 함께 이전하는 것. 현재 업무에 ... ...
- 동북아 원자력 안전 미래 향한 ‘뉴 클리어로드’ 의 출발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위한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어 삼각협력구도를 구축해 나가는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며 영상을 통해 축사를 전했다. 이어진 기조연설에서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원자력안전협의체가 동북아시아 3국이 협력과 평화라는 기조를 강화하는 데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에서도 ... ...
- 기억을 위한 시간, 잠KISTI l2015.10.10
- 그 안에는 온갖 불필요한 부분이 섞여 있고 내용도 뒤죽박죽이라 결코 제대로 된 영상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촬영 뒤에는 항상 불필요한 부분을 지우고 중요한 부분은 강조하는 편집 작업이 필요하다. 나중에 찾기 좋게 내용을 분류하고 저장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기억도 마찬가지인데, ... ...
- 창의적인 저녁형 vs 공부 잘하는 아침형, 당신은?KISTI l2015.09.29
- 잠에서 깬지 1시간 반 뒤와 10시간 반 뒤 집중력이 필요한 과제를 주고,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로 뇌를 촬영했다. 그 결과, 일어난 지 한 시간 반 정도 지나 진행한 오전 작업에서는 아침형과 저녁형의 뇌 활성화 정도가 비슷했다. 하지만 일어 난지 10시간 반 뒤에 진행된 저녁 과제에서는 아침형과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