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 단"(으)로 총 3,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대를 만들기 어려웠는지 지구에는 단 한 대만 와 있었고, 한 번 맹활약을 ... 넘는 드론이 격추 됐다. 하지만 단 한 대가 데슬레이터의 다리 부분을 그 대로 들이받으며 맹렬한 핵폭발을 일으키자 전황은 극적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중심을 잃은 데슬레이터가 비 틀거렸고, 이 틈에 사방에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명이 참여하는 바둑이벤트가 열린다. 서봉수 9 단, 이창호 9단 등 유명한 프로기사와 수 학자들이 직접 바둑 속에 숨어있는 수학 규칙을 알려준다. 이어서 프로기사 한 명 이 수학자 여섯 명씩 동시에 상대하는 ‘다 면기 대국’을 벌인다. 일반 참가자들은 수 학자들과 프로기사가 벌이는 대국을 보며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것 같다. 세 분야는 각기 장점과 단점이 있고, 어느 한 분야도 다른 분야를 압도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무협 영화라고 단 한 명의 영웅만 탄생하는 것은 아니다. 영웅들이 서로 무공을 가르쳐주며 같이 성장하기도 하고, 때로는 힘을 합해 공통의 적을 물리치기도 한다.양자컴퓨터의 고수들은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로봇의 전부라고 여겨지던 시대도 있 었다. 화려한 로봇의 역사에서, 군집로봇은 단 한 번도 무대 위로 올라오지 않았다. 그러나 역사가 30년을 웃도 는 ‘노장’인 군집로봇이 마침내 우리 눈 앞에 그 실체를 드러내려 하고 있다.단순하고 저렴하지만, 협력해 시너지 낸다로봇공학자들이 군집로봇에 ... ...
- Part ➋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100배 즐기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수 있다. 1897년 제1회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참가한 수학자의 수는 208명이었는데, 그 중 여성 ... 나온 52명의 필즈상 수상자 중 여성 수상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그런데 이번 대회에서 최초로 여성 수학자가 필즈상 수상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기대가 크다. 메리엄 미르자카니, 소피 모렐 등 여성 ... ...
- [시사] 수학의 고수, 수학자를 꿈꾸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군은 ‘수학은 곧 자신과의 싸움’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생각 때문일까. 지금껏 단 한번의 사교육 없이 홀로 수학을 공부해 왔다. 힘든 적은 없었을까?“요즘 부쩍 공부를 하다가 벽에 부딪히는 순간을 경험하고 있어요. 대학 수학은 내용이 매우 추상적이어서 지금 내가 고민하고 있는 것이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있다.열유전학 행동유전학의 한 방법. 30℃에서는 신경세포의 ... 22℃에서는 스위치를 끌 수 있는 단백질(TrpA1)을 사용해 특정 행동을 ... 보여주고 싶어 하는 과학자 집단이다. 벤저는 “진정한 과학자는 정신분석학자처럼 추측만 해대는 사이비 학자들을 경멸한다”고 말했다.벤저의 연구 경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전의 절지동물 조상종들은 단단한 골격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 된다(오른쪽 페이지 두 번째 사진). 단 한 방향에 예외가 있다. 빛이 방해석의 세 방향의 결정축 중 하나와 평행하게 들어가면 두 가닥으로 나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기 때문에, 사물이 온전하게 하나로 보인다. 방해석으로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는 정교한 기술이 필요해진 것이다. 장점이 곧 단점인 셈이다. 혹시 손상된 조직에 ... 신경세포를 얻을 수 있다. 중간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행한다고 해서 ‘직접교차분화’라는 이름이 붙었다. 역분화-재분화에 걸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술적 어려움도 피할 수 있는 ...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외에도 올해 1월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이 IBS연구단으로 선정됐다. 한 전공에서 2개의 IBS 연구단이 선정된 것은 흔치 않다. 또 8월부터 유전체보전연구단도 합류할 예정이다. 전국적으로 총 22개단이 선정된 IBS 연구단은 카이스트와 포스텍이 각각 4개를 유치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