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 단"(으)로 총 3,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포함돼 있었다. 섀클턴은 탐험이 단순한 모험이 아니라 연구 목적이 강한 ... 최악의 남극 조난 상황을 견뎌 냈고 단 한 명도 죽지 않은 채 무사히 살아남았다. 탐험은 명백한 실패였지만, 실패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그릴 수 있었고, 아래와 같은 간단한 식을 세울 수 있었어요.$y = ax + b ... 걸 확인했지. 으~, 정말 인내심이 대단한 걸~!극지과학 순록도 사람이 더 무서워북극에 사는 스발바르 순록은 덩치가 큰 북극곰을 무서워할까, 처음 보는 낯선 사람을 무서워할까? 노르웨이 오슬로대 에이질 라이버스 교수팀은 ... ...
- 창간 10주년 기념 코스프레 팬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해파리 서웅이 등 다양한 캐릭터가 있었단다. 어과동 만화가 친구들에게 ... 캐릭터를 직접 그린 세상에 단 하나뿐인 특별한 케이크였지.생크림을 다 바른 빵 위에 그림을 그리자 친구들의 개성이 드러나더라고. 어과동 10주년을 축하하는 메시지를 적기도 하고 좋아하는 그림을 그리기도 했지. ...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통해 만나게 됐어. 그런데 얼굴, 키는 물론 활달한 성격과 우유를 잘 소화하지 못하는 식습관까지 똑같았단다. 또 한 명은 영화배우, 나머지 한 명은 패션디자이너로 일하는 만큼 예술적인 재능까지 판박이~! 30년 가까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았지만 너무나도 비슷한 인생을 살고 있는 거지. 일부 . ...
- 국립도서관 사서 ‘다바쓰믄 돌리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있는 책을 찾아서 가장 먼저 돌아오는 사람이 우승자입니다. 우승하신 한 분에게는 황금으로 만든 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미션1 도서대출증을 ... 대회“이제 출입구까지 누가 책을 빨리 가지고 오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단 조건이 있습니다. 엄청 빠른 거북, 게으른 치타, 하늘을 나는 코끼리, ... ...
- [교과연계수업]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키가 크다? 이란성 쌍둥이를 결정하는 특정한 유전자가 있대. 이 유전자를 갖고 있는 사람은 FSH ... 자라게 하는 역할을 하지. 이 호르몬이 많으면 한 달에 두 개의 난자를 내보내는 경우가 생기고 이 ... 만나 수정해서 자라면 이란성 쌍둥이가 된단다. 그런데 이 유전자를 갖고 있다고 해서 모두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섬식 승강장이 있는 역으로 이동한 뒤에 다시 갈아타는 것이 편리하다. 단 2호선 아현역 등 일부역은 ... 교류 전기를 쓰는 것보다 더 싸고 간단한 전자기기로 차를 움직일 수 있어요. 대신 변전 설비를 짧은 거리마다 계속 설치해 놔야 하지요. 그래서 저렴한 가격으로 짧은 구간을 연결하는 지하철은 ... ...
- 달에 까만 토끼가 살고 있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은하수~ 하얀 쪽배에~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갑자기 웬 노래냐고? 아무리 봐도 도대체 ... 나를 보고 여러 가지 모습을 상상했어요. 한국 사람들은 방아를 찧고 있는 토끼를, 다른 ... 갈래!안타깝지만 닥터 그랜마. 달에 온다면 단 1분도 버티기 어려울 거예요. 달은 대기가 무척 옅어서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것은 어렵다고 못박았다. 일단 중력이 어마어마한 블랙홀로 들어가자마자 우리 몸은 ... 지금까지 웜홀로 추정되는 어떠한 단서조차 찾지 못했다. 웜홀의 개념은 아직까지는 이론상으로만 존재할 뿐, 실체는 증명되지 않은 셈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른 시각에서 웜홀의 존재 가능성을 바라보기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수학적 진리가 확실하냐는 질문이었다. 그에 대한 간단한 답은 당연히 아니라는 것이었다. 인간의 탐구 작업이니 만큼 당연히 다른 자연과학이나 마찬가지로 모호한 부분이 있고, 우리는 연구와 노력을 통해서 단지 각종 진리에 대한 증거를 찾아나갈 뿐이다. 물론 학문의 전통상 추구하는 논리의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