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흔들림
격동
동요
떨림
바이브레이션
비브라토
전율
d라이브러리
"
진동
"(으)로 총 1,750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波源)과 관측자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운동하고 있을 때 관측자에게 관측되는 파원의
진동
수가 변하는 현상 1842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J C 도플러가 이중성(二重性)의 빛에 관하여 별의 운동방향과 색의 변화를 연구하던 중 처음 발견했다 멘델의 유전법칙의 하나 2쌍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 ...
추위와 폭설, 한반도를 덮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오히려 낮아져 차가운 공기가 찾아 오기 쉽게 됩니다. 반대로 양(플러스)의 상태인 북극
진동
때는 북극 주변의 기압이 낮고 한국의 기압은 높아져 따뜻한 겨울이 된답니다. 또한 이렇게 북극에 서 온 차가운 공기가 서해와 만나 눈구름이 만들어져서 서해 지역에 많은 눈을 내리게 합니다. 이렇게 ... ...
별의 비밀 알려주는 노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가운데 하나로 4.3광년 떨어져 있다.관측 결과 별 바깥층에서 가스가 끓어올라 낮은 음의
진동
을 만들고, 이 음파가 별 내부에 부딪혀 반사되면서 파장이 조금씩 변하는 것이 관찰됐다. 이 결과는 지난해 12월 23일 ‘뉴 사이언티스트’ 온라인 판에 실렸다.연구팀은 칠레와 호주의 망원경을 번갈아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다른 분자의 차이점은 단원자분자의 운동은 병진(竝進)뿐이며 회전 및
진동
은 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단원자기체의 에너지나 열용량은 이들의 내부자유도와 관계가 없다 대표적인 단원자기체는 He, Ne 등의 비활성기체이다 지도투영법(投影法)의 하나 한 개의 위선(韓線)을 따라 지구의(地球儀)에 ...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본 아인슈타인의 모형에 대해 디바이는 고체결정 내의 격자
진동
을 연속탄성체의 탄성
진동
으로 근사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안트라센에 벤젠핵 2개가 더 축합된 다섯 고리모양 탄화수소의 총칭칼콘의 이브롬화물에 나트륨메톡시드를 작용시킨 후 염산과 가열해 얻는 화합물 ... ...
떡국 만든 로봇 '떡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만들기로 했다. 그런데 한 가지 문제가 생겼다. 덜컹거리는 시골길을 달리다 보니 심한
진동
으로 로봇이 고장난 것이다. 썰렁 홈즈는 로봇을 고치기 위해 로봇의 배를 열었더니 여러 개의 톱니바퀴가 나왔다. 설명서에는 ‘심한 충격으로 인해 고장이 나면 노란색 톱니바퀴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야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종이에 연결하여 음파를 방사하는 것을 다이나믹콘스피커, 그리고 음성코일로 작은
진동
판을 움직이고 그 전면에 혼(나팔)을 달아 효율적으로 음파를 방사하는 것을 다이나믹혼스피커라 하여 구별한다 전동기를 일시적으로 발전기로서 동작시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고, 그 전력을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모니터에 갑자기 엄청난 지진파가 감지되었다. 시작은 서울, 순식간에 양평 등 주변으로
진동
이 퍼져나가고 지진감시과에는 팽팽한 긴장이 감돈다.4. 지진의 발생과 규모가 확정되면 재빨리 지진통보가 전달된다. 언제, 어디서 지진이 발생했고 규모는 얼마인지 자세한 정보를 지진 통보 시스템을 ... ...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플라스틱 선들도 고유의
진동
수를 가지고 있는데요. 목소리의
진동
수와 같은
진동
수를 가진 플라스틱 선이 떨리게 되는 것이지요. 이러한 현상을 바로‘공명’이라고 한답니다. 높은 소리일수록 짧은 플라스틱 선이 낮은 소리일수록 긴 플라스틱 선이 떨리지요. 친구들의 목소리를 분리해 보면 ... ...
전자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거의 없다. 바퀴 없이 전자석의 힘만으로 공중에 떠서 움직이기 때문에 열차 특유의
진동
과 소음도 느낄 수 없다. 이 자기부상열차는 현재 독일, 일본에서 실제로 쓰이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올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시속 110km로 움직이는 자기부상열차의 개발에 성공했다(사진).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