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장"(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특별한 기능 없이 단순한 경유지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있다. 5mC가 5hmC로 변하고, 5hmC가 다시 시토신으로 돌아오는 메커니즘이 2011년 발견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반대되는 증거도 만만치 않다. 일례로 5hmC는 줄기세포나 증폭자 등 중요한 부위에서 자주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선호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실제로 진화학자들의 학설 중에는 이를 뒷받침하는 주장이 있다. 인간이 수렵채취 시대부터 몸 안에 에너지를 더 많이 저장하기 위해서 에너지원이 되는 기름진 맛(지방)과 달콤한 맛(탄수화물)에 쾌락을 느끼도록 진화했다는 것. 배가 고프면 맛에 관계없이 칼로리가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와딩턴은 특정한 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 DNA가 아닌 알 수 없는 물질이 참여한다고 주장했다. 반대로 어떤 이들은 생식세포의 DNA 일부가 없어지면서 피부세포로 남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와딩턴의 추측이 맞으려면 보통 세포와 생식세포의 DNA가 똑같다는 것이 증명돼야 했다. 이것은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북한이 사용하는 조선어를 보고 북한이 남한보다 우리말을 더 많이 발전시켰다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실상 북한의 조선어는 한자로 이뤄진 게 매우 많다. 북한은 한자어 표기를 원칙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외래어를 조선어로 바꿀 경우 오히려 뜻을 이해하기가 더 어렵다.그밖에도 뜻은 같은데 ... ...
- 볼넷을 사랑한 4번타자, 평가는?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상황은 달라졌을까.이런 극단적인 상황이 아니라도 볼넷이 득점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세이버 매트릭스 커뮤니티 ‘팬그래프’의 칼럼니스트 줄리언 애슐린은 볼넷과 경기당 득점의 상관관계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14년 메이저리그 팀들의 볼넷의 총합과 경기당 득점의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소수 해에 나오면 천적을 피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얘기는 근거 없는 주장이다.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물리교사이자 우리나라에 있는 매미들의 소리를 연구하는 윤기상 박사는 “매미는 전 세계에 2000종이나 된다”며 “아직까지 어떤 과학자도 종마다 알에서 태어난 유충이 밖으로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것”이라고 말했답니다.하지만 최근에는 보통 사람의 뇌와 거의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이 많아요. 실제로 아인슈타인 뇌의 총중량은 1230g으로, 보통 사람과 크게 다르지 않거든요. 오히려 우리나라 남자 평균인 1350~1400g에 비해 가벼운 편이에요. 또한 뇌 주름의 수 역시 보통 사람과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다른 기계와 다르게 특별취급 받아야 할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묻는다. 즉, 존 설의 주장이 힘을 얻으려면 인간 지능이 다양한 종류의 지능 가운데서 가장 핵심적이라는 게 증명돼야 한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인공지능의 한계와 일반화된 지능의 가능성’이라는 논문에서 “피부색은 ...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상태로 3중 포장돼 있었다. 미국 국방부는 미생물 취급 규정에 따라 적절하게 포장됐다고 주장했지만 문제는 탄저균이 살아있었다는 사실이다.탄저균이 생물학 무기로 쓰이는 이유는 보관과 이용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탄저균은 흙속에 서식하는데, 환경 조건이 나빠도 분말 포자 상태로 10년 이상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캐나다의 신경과학자 도널드 헵은 1949년, 실제 두뇌가 학습하는 방식을 추리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학습은 뉴런 사이의 연결 관계가 활성화되는 경험이 반복되면서 이뤄진다. 유명한 ‘파블로프의 실험’이 그 예다. 개는 원래 음식을 봐야 침을 흘린다. 그러나 개에게 먹이를 줄 때마다 종을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