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장"(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술˙담배 잦은 한국인, 햄˙소시지 발암위험 더 높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위험수위인 사람은 가공육을 조금만 많이 먹어도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이런 주장에는 근거가 있다. 유럽에는 10개국 주민 34만7237명을 12년간 추적 조사한 자료인 ‘유럽 영양 및 암 전망조사(EPIC)’가 있다. 미국과 유럽 11개국의 과학자 43명은 이를 이용해 대규모 역학조사를 했다. 그 결과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들어 있는 MSG는 자연에 존재하는 글루탐산과는 다른, 인공적으로 만든 물질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몸에 들어오면 해롭다는 거지요. 하지만 식품학자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이광원 고려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MSG가 물에 들어가면 글루탐산 음이온이 되므로 글루탐산과 MSG는 사실상 같은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아버지라 불리게 된 에드몽 로카르예요.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는 그의 주장은 오늘날 범죄수사관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기본 법칙으로 자리잡았답니다. 이를 ‘로카르의 법칙’이라 부르지요.로카르가 말한 ‘물질 교환’이 어렵게 들리겠지만, 실은 간단해요. 범인이 걷거나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그 집에서 개나 고양이를 키우는지 여부를 각각 92%와 83%의 정확도로 알아맞힐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생물로 범죄 용의자 추적한다피어러 교수는 왜 미생물을 이용해서 사람의 신원을 파악하는 연구를 할까. 미생물이 범죄 수사를 돕는 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지문이나 DNA가 범인을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휴지 끝이 위로 오게 걸지, 아래로 가게 걸지 의견이 분분했거든요.그 중 가장 과학적인 주장은 휴지 끝이 위로 올라오게 걸면 아껴 쓸 수 있다는 거예요. 왜 그럴까요?휴지는 대부분 사람 눈높이보다 아래에 걸려 있어요. 그래서 휴지 끝이 안쪽에 있으면 두루마리 휴지에 가려져 눈에 보이지 않는 ... ...
- [수수께끼 2] 모자 장수가 수학자라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답을 찾기 위해 애를 쓰다가 미국의 소설가 ‘에드거 앨런 포’가 정답이라고 주장했다. 그가 책상에서 라는 소설을 썼기 때문이다.하지만 캐럴의 답은 따로 있었다. 바로 ‘까마귀와 책상 둘 다 flat(음색이 단조로운/납작한) 하지만 note(음색/공책)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그리고 ... ...
- [참여] 우리 학교 수학축제로 놀러 오세요! 호곡중 수학원정대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평소 생활에서 흔히 생각할 수 있는 주장으로 수학 전시물을 만들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어떻게 통계를 활용했을까? 몇 가지를 소개한다. 통계는 더 이상 책 속의 내용에서 머무르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든든하게 뒷받침하는 객관적인 자료로 쓰이고 있었다. 수학 전시물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말했다.에리스와 슈나이더 교수는 관용을 잘 이해하면 새로운 약을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말라리아원충은 자기복제를 위해 글라이코실포스페티딜이노시톨(GPI)을 내뿜어 숙주의 적혈구를 용해시킨다. 만약 GPI를 억제하는 백신을 만들면 말라리아로 인해 생기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 ...
- 바이러스도 ‘생명의 나무’에 그려 달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바이러스와 세포의 진화역사를 하나로 합친 최초의 계통도가 탄생했다.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작물학과의 구스타보 캐타노 아놀레스 교수팀은 바이러스 3460 ... 바이러스의 공통조상으로서의) 고대세포에서 유래했으며, 오늘날 세포의 조상과도 공존했다”고 주장했다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장군의 거북선을 복원하려는 시도는 많았다. 하지만 설계와 무기의 배치를 두고 해석과 주장이 분분했다. 특히 내부 설계는 알려진 것이 없어 2층설, 3층설 등 다양한 이론이 난립해왔다. 그런데 최근 채연석 전 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이 거북선 내부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로켓을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