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d라이브러리
"
전지
"(으)로 총 1,13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애를 먹었다. 지구에 도착한 해왕성 자료의 에너지원은 손목시계에 사용하는 소형
전지
동력의 20억분의 1에 불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보이저2호가 전송하는 무선전파는 초당 30만㎞로 지구로 보내졌지만 도달거리가 약 44억㎞나 돼, 도착하는데만 4시간 6분이 걸렸다고 한다. 이처럼 미약한 신호는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4.3배, 중량은 1.8㎏이다.이보다 무게가 더 무거운 성광경도 있다. 이 장비는 5.4볼트 수은
전지
를 쓰고 탐색거리 1천m, 시계는 7도, 배율은 8배, 중량은 21㎏이다.또 25mm 3단 이미지관을 사용하는 야간 감시장비는 주로 무반동포에 장착한다. 이 장비는 배율이 5.7배나 되고 조리개는 50m부터 무한대까지 ... ...
PART Ⅱ 태양
전지
와 태양광 발전의 원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지적되고 있는 것.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격이 저렴하고 효율이 높은 신소재 태양
전지
를 개발해야 한다. 이 작업에는 현재 선진국뿐만 아니라 국내의 연구진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가격의 저렴화와 고효율화. 이 두가지 장벽만 극복한다면 1990년 중·후반에는 기존전력과 경제성을 놓고 겨룰 수 ... ...
PART1 첨단 선박들에는 어떤 것이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등으로 많은 작업을 할수록 대용량의 축전기가 필요하나 아직 획기적인 대용량의 축
전지
는 개발된 것이 없어 잠수정의 수중 최고 속도는 3~4노트가 고작이다.우리나라에서도 기계연구소 대덕선박분소가 개발한 잠수심도 250m급 3인 승선의 잠수정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잠수깊이는 6천~8천m까지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것도 그가 지닌 같은 종류의 생각으로 볼 수 있다.또한가지 니덤이 강조하는 점은 중국에
전지
전능한 창조주로서의 신(神) 이라는 개념이 없었다는 점이다. 신은 세상의 모든 사물을 창조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창조한 사물들이 만족해야 할 자연법칙까지도 만들었다. 따라서 신에 대한 이러한 ... ...
TDX-1B개통을 계기로 본 국산 전자교환기의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등 불편이 많았으므로 공전식 교환기가 나타나게 된다. 공전식은 전화국내에 통화용 축
전지
와 신호장치를 설치하여 여러 가입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한것으로 가입자가 전화기를 들면 교환대의 램프가 저절로 켜져 교환원이 응답하게 한 방식이다.1889년 미국의 스트로우저는 상대방 가입자 ... ...
에너지를 담는 수소저장합금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들어 있는 저장용기에 담아서 보관한다. 그러다가 필요할 때 시에 수소를 방출, 연료
전지
에 연결하면 발전까지도 가능해지는 것이다.한편 하천하구에서는 식염농도의 차이에 의한 담해수발전이 가능하다. 민물과 바닷물이 섞일 때 2백31m(중력포텐셜로 환산할 때)라는 놀라울 정도의 화학포텐셜이 ... ...
「꿈의 재료」아모르포스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재료공학자들이 활발하게 도전하고 있다.아모르포스반도체의 활용범위는 태양
전지
에 국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트랜지스터 집적회로 전자사진 전자복사기 초고속프린터 등에도 쓸 수 있는 것이다.모든 재료로 만든다. 아모르포스재료는 수없이 많다. 즉 몇가지로 한정되어 있는게 아니다. ... ...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실수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훨씬 안전한 타입의 핵로설계를 개발했다. 실험용 태양
전지
와 마찬가지로 이 새로운 핵로는 매우 전망이 밝지만 아직 경제성은 미흡하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의 과감한 연구개발투자로 이런 문제는 조만간 해결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기대하고 있다.구멍뚫린 ... ...
소리를 알아듣는 전기달팽이관 출현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수술의 기원은 2백여년 전인 17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난청으로 고생하고 있었던, 볼타
전지
로 유명한 볼타가 자신의 귀속에 전극을 삽입하면서 비롯된 것이다. 그는 전극에 약 50볼트의 전압을 흘려보냈는데 물끓는 소리를 들었다.물론 이때는 전기공학이나 청각생리가 발달되지 않은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