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고르는 행동부터 유전자의 선택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선택을 설명할 수 있었다. 1세기에 걸친 진화생물학 역사를 통틀어 그 어떤 학자도 생각하지 못한 경이로운 등식이었다.1968년 9월, 프라이스는 미국에 있는 어머니에게 편지를 보냈다. 『아주 놀랍고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일이 한 시간 ... ...
- 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페르미온’ (2017.1)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1N054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Bridge. ‘물질 디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물리학의 관점에서 피아노의 음색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그러나 20세기 후반 피아노 건반을 치는 방식에 따라 최종적으로 현을 때려 소리를 내는 해머의 휘청거림이 근소하게 바뀌면서 음색이 달라질 가능성이 제기됐다(후루야 신이치, ‘피아니스트의 뇌’). 실제로 일본 ... ...
- 인터뷰. 역설은 희망을 노래한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역설이 연구되기 시작했나요?논리적으로 모순이 생기는 역설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건 19세기 독일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부터예요. 칸토어는 원래 푸리에 급수를 연구했어요. 여러 가지 함수를 다항식의 합인 푸리에 급수로 근사할 수 있음을 연구하던 칸토어는 ‘어떤 점에서는 함수를 푸리에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바꿔놓은 물질관물질이란 말 대신 양자물질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회자된 것은 21세기에 들어선 이후다. 금과 은, 구리, 철은 여전히 물질이라고 부른다. 양자물질의 범주에는 실험실에서 합성된 인조물질과, 위상학적 특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위상물질, 혹은 양자컴퓨터 소자로 쓰일 만한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집단 간의 통합도 가져다 준다. 컨트리, 블루스, 랩 음악은 인종과 계층을 통합했다. 19세기 중반, 미국 노예 해방 선언 이후 미국 남부로 건너 온 아프리카인들은 블루스를 창시했다. 블루스는 12마디 3절로 구성돼 있는데, 2절은 1절의 반복, 3절은 2절에 대한 즉흥적 응답형식으로 이뤄져 있다. 이런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18세기 초 유럽인은 여성이 수학과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1704년 창간한 영국의 수학잡지 ‘숙녀들의 수첩’은 “요즘 여성들은 요리보다 수학을 더 좋아한다”며 식재료 보관법이 아니라 수수께끼와 수학 문제만 싣기로 했다. 이 시기에 이름을 떨친 여성도 수학자 마리아 아녜시처럼 수학 분야에서 ... ...
- [수학뉴스] 수학의 모든 것 지도 한 장에 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화제입니다. 지도는 가운데 노란색 원에서 시작합니다. 수학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수 세기와 수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0의 발견 등 수학의 기원을 간단한 그림과 함께 보여줍니다.이 원을 기준으로 왼쪽 붉은색 부분은 정수와 실수, 사칙연산 기호 같은 수학의 기본 요소와 위상수학, 대수학,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조상이 번성하는 데 중요한 비결이었다. 에우파르케리아 화석이 처음 발견된 20세기 초반, 과학자들은 에우파르케리아가 오르니토수키아 같은 육상에 살던 악어의 조상뿐만 아니라, 조류의 조상과도 가깝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동물들의 모든 해부학을 현대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