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분류하기 때문에 ‘6정계’라고 합니다. 결정의 모양을 연구한 수학자도 있습니다. 19세기 폴란드 수학자 아서 쇤플리스와 러시아 수학자 에그래프 표도로프는 대수학의 ‘군’ 개념을 이용해 광물을 분류했습니다. 점, 선을 기준으로 모든 대칭을 고려하면 광물을 총 230개로 분류할 수 있다고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동양에서 서양으로 옮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관점도 있다. 과학사에 따르면, 18세기 이전까지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이 문명의 우위에 있었다. 종이와 화약, 나침반 등이 동양에서 처음 발명됐다. 하지만 도자기 제조 기술을 중시한 동양과 달리, 거주 문화에 유리창을 도입한 서양은 유리 ... ...
- Part 2. 초미세먼지는 국경이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때 나오는 칼륨 등도 있지요.이렇듯 미세먼지의 성분을 자세히 분석하면, 당시 바람의 세기나 방향 등을 토대로 그 성분이 어디에서 배출됐는지 지역이나 국가를 유추해 낼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쿨럭쿨럭~, 깨끗한 공기를 찾아라!Part 1. 겨울철, 초미세먼지가 위험하다!Part 2.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할 것이 있다”한 달 간격으로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에 두 편의 논문이 실리면서, 반세기 이상 이어져 온 미스터리에 종지부가 찍힌 것처럼 보였다.그런데 올해 2월 20일, 학술지 ‘고생물학’에 반박 논문이 실렸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지구환경과학과 로렌 살란 교수팀은 작년에 발표된 두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황철석 또는 강철에 때려서 불을 피우는 도구로 사용하면서 부싯돌이라고 불렀다. 19세기까지 사용된 화승총의 격발 장치에도 이 부싯돌을 썼다.플린트가 많이 산출되는 곳에서는 고급 건축자재로도 썼다. 필자는 지난해 말 프랑스 남부의 엑상 프로방스에 있는 화가 폴 세잔의 공방을 방문했는데, ... ...
- 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무엇이며 어떤 게임이 벌어지고 있는지 조명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바일 준금속의 물리적인 성질이 매우 특이하다는 점을 응용할 수도 있다. 특히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에 굉장히 민감하기 때문에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Q 얼마나 많은 양자물질을 발견할 수 있을까.양자물질은 다양한 원소들을 조합해서 만든다. 아직 탐험할 물질들이 너무나 많다. 수백만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 있을까’(2011.4)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104N008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Bridge. ‘물질 디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추측은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하다’인데, 18세기에 만들어졌지만 아직까지도 참이라고 할 수도, 거짓이라고 할 수도 없는 명제로 남아있다.연속체 가설은 ‘자연수의 집합보다 크고 실수의 집합보다 작은 집합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집합의 크기를 비교할 때 ... ...
- [Origin] 동물들의 외모지상주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우리는 왜 정갈한 외모에 끌리는 것일까요.여기엔 두 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하나는 20세기 초 로널드 피셔가 제안한 ‘줄달음 선택(Fisherian runaway)’ 이론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암컷이 ‘잘생긴’ 수컷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내 남편의 매력이 내 자식에게도 전달되기 때문이죠. 내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