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양을 구하기 위해서 포도주 통을 원반 모양으로 여러 번 잘랐다.➌ 원반을 무한 번 잘라 높이가 무한소가 되도록 만든 뒤, 원반의 부피를 모두 더해 포도주의 양을 구했다.1674년 무한소로 나눈다?! 미분의 탄생그러니까 적분은 무한소끼리 더한다는 의미구나. 그렇다면 미분은? 미분이란 뭐고, ... ...
- 눈 VS 우박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다른 얼음결정과 서로 부딪치고 엉겨 붙어요. 얼음알갱이가 점점 커지는 것이죠. 구름이 높이 솟아 있을수록 우박이 커진답니다. 강한 뇌우가 내릴 때에는 커다란 우박이 내리기도 하는데요. 이때 생긴 우박은 구름 속에서 얼음알갱이가 오르락내리락하며 얼었다 녹기를 반복하면서 자라요. 그래서 ... ...
- 자유탐구 완전 정복, 섭섭박사가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좋아~! 다 빈치의 꿈을 담은 다 빈치의 날개 만들기, 지금부터 시작!3 날개를 펄럭이며 높이 날아라!날개 몸체를 한 손으로 잡고 고무줄에 연결된 부품을 여러 번 감는다. 고무줄이 팽팽해지면 풀리지 않도록 손으로 잘 잡은 뒤, 30° 각도로 하늘을 향해 던지듯 날린다. 손을 떠난 다 빈치 날개는 ... ...
- ‘지구 수호 벨트’의 비밀이 풀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지구 대기 속으로 바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아 주는 ‘지구 수호 벨트’예요. 1만 2800㎞ 높이에 있는 약 6300㎞ 두께의 내부 벨트와 1만 9000~4만 5000㎞ 두께의 외부 벨트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김경찬 선임연구원팀과 미국항공우주국(NASA),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UCLA)의 공동 ...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해빙, 기압 등으로 지구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쳐요. 전 세계 곳곳에 열을 전하고, 해수면 높이를 바꾸며, 태양에너지 흡수율을 결정하고 하고, 겨울에 한파가 생기게도 한답니다.지구의 깊은 바다에는 천천히 순환하면서 전 세계로 열을 전해 주는 심층해수가 있어요. 특히 북극 그린란드해는 ... ...
- 개성 짱! 동물들이 모인 LOST VALLEY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목뼈는 사람이나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일곱 개래.윽 , 그런데 기린은 정말 크구나. 내 눈높이에서는 다리밖에 안 보여.하하, 장순이의 키는 650㎝야. 지난 9월에 낳은 막내 기린도 벌써 키가 195㎝나 된대.로스트밸리의 유명인사! 세상에서 가장 많이 새끼를 낳은 기린지난 10월 1일자 ‘과학뉴스’에 ... ...
- 눈으로 보는 공기의 힘! 진공 펌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낮아질수록 부피가 커지거든. 압력이 반으로 낮아지면 부피는 두 배로 커져. 풍선이 하늘 높이 올라갈수록 주위 압력이 낮아져서 부피가 점점 커지는 것도 같은 원리야. 고무가 늘어날 수 있는 정도보다 공기 부피가 커지면 어느 순간 풍선이 ‘뻥!’하고 터져버리지. 뻥튀기처럼 말이야! 으하하하 ... ...
- 누가 해수면 높이를 묻거든 호주를 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조사한 결과, 건조하기로 유명한 호주 대륙이 2010년 내린 비를 빨아들인 탓에 해수면의 높이가 내려갔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반대로 2011년 이후 호주에 가뭄이 닥치면서 해수면이 다시 매년 10㎜씩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는 것도 밝혔답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지구의 기후시스템을 ... ...
- 우주에 울려 퍼지는 레이더 아리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아리랑 5호랍니다. 지난 8월 22일에 러시아의 야스니 발사장에서 발사돼 목표였던 550㎞ 높이 궤도에 무사히 도착했지요. 지금은 지구 주변을 하루에 15바퀴씩 돌면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한반도를 지켜보고 있어요. 발사 5시간 56분이 지났을 때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첫 번째 교신을 하긴 ... ...
- 사쿠라지마 화산 분화, 백두산도 언젠가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시커먼 화산재가 치솟아 올랐지요. 이는 일본 기상청이 관측을 시작한 1955년 이후 최고 높이랍니다.이 때문에 가고시마 시내에는 사흘 넘게 청소해야 할 정도로 화산재가 쌓였지요. 사쿠라지마는 올해만 502번이나 폭발할 정도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활화산이고, 관측이나 대책도 철저하기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