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주파수 음을 모두 제거하기 위해 헬름홀츠 캐비티 한 무더기를 선풍기 기둥에 넣었어요. 높이가 5피트(152.4cm)에 달했죠. 그리고 한 번에 하나씩 장치를 제거하며 소리 변화를 녹음하면서 음색을 개선했습니다.”그는 “이러한 ‘반복’이야말로 다이슨의 디자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며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망토와는 거리가 멀었다. 사라지게 한 대상도 사람이 아니라 실린더 모양에 너비 5cm, 높이 1cm의 작은 구리관이었다. 연구팀은 구리관을 투명하게 하기 위해 관을 중심으로 주변에 10장의 메타물질 고리를 성벽처럼 겹겹이 세웠다. 이 성벽은 8.5GHz의 전자기파(빛)를 구리관 주변으로 휘돌아가게 해서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난이도가 높다”며 다시걷기프로젝트팀의 기술수준을 높이 평가했다.환자 입장에서는 로봇이 알아들을 수 있게 일정한 뇌파를 내는 훈련도 필요하다. 애니메이션 ‘에반게리온’ 에서 파일럿이 특정 생각을 반복해 결국 로봇 기동에 성공하는 것처럼. 월드컵 시축을 ... ...
- 암흑물질이 공룡 멸종시켰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중심으로 두께 35광년의 밀도가 높은 암흑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가로 세로 높이 1광년의 공간에 태양하나 질량의 암흑물질이 있는 밀도로, 혜성의 궤도를 바꾸기에 충분하다는 것이다. 랜들 교수는 암흑물질 때문에 혜성의 궤도가 바뀌었고, 그 중 일부가 지구로 다가와 충돌했다고 밝혔다.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투구와 비슷해 보입니다. 덩굴도 아니면서 비스듬히 자라는 모습이 특별 한데, 세워 보면 높이가 1m를 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에는 포기가 작은 ‘각시투구꽃’, 잎이 3갈래인 ‘세뿔투구 꽃’, 씨방에 털이 없는 ‘그늘돌쩌귀’ 등 사촌 지간인 식물 이 18종류나 있습니다. 더 재미있는 것은 ... ...
- 인텔 ISEF2014 한국대표 동행기 “도전정신은 우리가 세계 최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바다 방향으로 흐르는 해류를 말한다. 이 군은 이안류가 빠르게 빠져나갈 때 바닷물의 높이가 크게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는 파력발전기를 제안했다. 새 발전기의 효율은 기존대비 1.6배. 이 군은 “아직까지 파력발전이 널리 실용화되지못한 까닭이 설비가 비싸기 때문”이라며 “효율이 높아지면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모토답게 이들은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과학을 소개하려 하는 동시에 독자도 눈높이를 끌어올려야 한다고 말한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과학책 역시 쉽지만은 않다. 그러나 읽고 나면 확실히 뿌듯하다. 울림이 있는 과학책과학에도 인기 분야가 있다. 빅뱅, 우주, 진화, 자연, 의학 등이다. 많은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독이 된다고 설명했다. 뉴먼은 마치 이것을 모래산에 빗대 설명했다. 모래산은 일정한 높이에 이를 때까지는 안정적이지만, 거기에 하나의 알갱이를 더 얹는 것만으로도 오히려 불안정해져 무너질 수 있다. 이처럼 전력망에도 최적의 크기가 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미국의 서부 지역의 1만 6000개의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아부다비에 있다. 그리스 신화의 비너스가 태어난 대형 조개처럼 바닷가에 우뚝 서 있다. 높이는 110m, 외곽이 모두 유리창인데 축구장 4개를 덮을 정도다. 놀랍게도 원래는 바다였던 곳에 30개월 만에 지어졌다. 알다르헤드쿼터스빌딩은 부동산 개발 업체인 알다르가 수상 도시인 ‘알 라하 비치’를 ... ...
- 13th 전국 학생 과학·수학 논술대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과학독후감 두 부문으로 참가 가능하다. 과학논술은 지정논제에 대해 각자의 눈높이에서 바라본 견해와 타당한 근거를 제시해야 하며 과학독후감은 지정도서를 읽고 쓰면 된다. 특히 올해는 수학부문 특별논제가 추가됐다.특별논제 수상자에게는 8월에 열리는 2014서울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에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