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파도는 먼 바다에서 만났던 파도와는 ‘클라스’가 전혀 다르다. 먼 바다에서 주기 15분, 높이 1m 짜리 파도를 만났다고 생각해보자. 이 파가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5분이므로 바다에 떠있는 배는 1m를 오르내리는 데 15분이나 걸린다. 이쯤 되면 자잘한 다른 파도에 계속 흔들리기 때문에 정작 배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난이도가 높다”며 다시걷기프로젝트팀의 기술수준을 높이 평가했다.환자 입장에서는 로봇이 알아들을 수 있게 일정한 뇌파를 내는 훈련도 필요하다. 애니메이션 ‘에반게리온’ 에서 파일럿이 특정 생각을 반복해 결국 로봇 기동에 성공하는 것처럼. 월드컵 시축을 ... ...
- 인텔 ISEF2014 한국대표 동행기 “도전정신은 우리가 세계 최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바다 방향으로 흐르는 해류를 말한다. 이 군은 이안류가 빠르게 빠져나갈 때 바닷물의 높이가 크게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는 파력발전기를 제안했다. 새 발전기의 효율은 기존대비 1.6배. 이 군은 “아직까지 파력발전이 널리 실용화되지못한 까닭이 설비가 비싸기 때문”이라며 “효율이 높아지면 ... ...
- 암흑물질이 공룡 멸종시켰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중심으로 두께 35광년의 밀도가 높은 암흑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가로 세로 높이 1광년의 공간에 태양하나 질량의 암흑물질이 있는 밀도로, 혜성의 궤도를 바꾸기에 충분하다는 것이다. 랜들 교수는 암흑물질 때문에 혜성의 궤도가 바뀌었고, 그 중 일부가 지구로 다가와 충돌했다고 밝혔다.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투구와 비슷해 보입니다. 덩굴도 아니면서 비스듬히 자라는 모습이 특별 한데, 세워 보면 높이가 1m를 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에는 포기가 작은 ‘각시투구꽃’, 잎이 3갈래인 ‘세뿔투구 꽃’, 씨방에 털이 없는 ‘그늘돌쩌귀’ 등 사촌 지간인 식물 이 18종류나 있습니다. 더 재미있는 것은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망토와는 거리가 멀었다. 사라지게 한 대상도 사람이 아니라 실린더 모양에 너비 5cm, 높이 1cm의 작은 구리관이었다. 연구팀은 구리관을 투명하게 하기 위해 관을 중심으로 주변에 10장의 메타물질 고리를 성벽처럼 겹겹이 세웠다. 이 성벽은 8.5GHz의 전자기파(빛)를 구리관 주변으로 휘돌아가게 해서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모토답게 이들은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과학을 소개하려 하는 동시에 독자도 눈높이를 끌어올려야 한다고 말한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과학책 역시 쉽지만은 않다. 그러나 읽고 나면 확실히 뿌듯하다. 울림이 있는 과학책과학에도 인기 분야가 있다. 빅뱅, 우주, 진화, 자연, 의학 등이다. 많은 ... ...
- [Knowledge] 태양계 최대의 화산 ‘올림푸스몬즈’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올림푸스몬즈는 하와이의 화산 마우나로아(10km)의 2.7배, 에베레스트(9km)의 3배 높이를 자랑하는,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화산지대다. 지구에서는 결코 이런 지형이 만들어질 수 없다. 중력이 강해 결국 무너지고 말 테니까.창 밖으로 까마득한 벼랑이 보였다. 숨이 멎는 듯 했다. 마리너계곡이다. 총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독이 된다고 설명했다. 뉴먼은 마치 이것을 모래산에 빗대 설명했다. 모래산은 일정한 높이에 이를 때까지는 안정적이지만, 거기에 하나의 알갱이를 더 얹는 것만으로도 오히려 불안정해져 무너질 수 있다. 이처럼 전력망에도 최적의 크기가 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미국의 서부 지역의 1만 6000개의 ... ...
- 최첨단 지도 연구 현장 국토지리정보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레벨측량기'라는 장비를 이용합니다. 이 장비는 평행한 곳만 볼 수 있는 장비예요. 높이를 알고 싶은 지역에 레벨측량기를 설치한 후, 해수면을 기준으로 높이($a$)를 잽니다. 그런 다음, 레벨측량기가 설치된 곳의 높이($b$)를 빼면 땅의 높이($h$)를 구할 수 있어요(그림❸)." 지금은 첨단 지도 시대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