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육"(으)로 총 4,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ED 스탠드를 만들어 보자! 적정기술 연구센터 핸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처럼 핸즈에서는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마을 공동체를 돕는 적정기술을 연구, 교육하고 있답니다.” 적정기술은 1960년대 경제학자 슈마허가 만들어낸 ‘중간기술’이라는 용어에서 시작됐어요. 과학이 발달하며 점점 첨단과학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만들어지고 있어요. 하지만 가격이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골목길 담벼락에 아무렇게나 그려진 벽화를 예술이라 말할 수 있을까. 미술교육을 전혀 받지 않았던 장미셸 바스키아가 미국 뉴욕 빈민가에 그린 벽화가 지금은 경매에서 최고가에 팔릴 정도이니, 그림에 따라서는 낙서 같은 벽화도 예술이나 상품이 될 수 있는 모양이다. 국내에서 벽화라고 하면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하로 조를 짜서 함께 풀면 됩니다. 여러분도 참여하고 싶다고요? 안타깝게도 영국에서 교육을 받은 학생들만 대회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인터넷에 공개돼 있어 마음만 먹으면 풀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2017년 대회에 나온 문제를 소개합니다. 1. 우연히 종이 두 장을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견고한 모터 장착한 꼬마로봇 ‘태권브이’미니로봇은 ‘태권브이’를 들고 나왔다. 교육용 로봇 제작업체인 미니로봇은 8개 팀 중에서 유일한 기업 참가팀이다. 태권브이는 키 70cm, 몸무게 12kg으로 ‘스키로’보다 체구가 작다. 태권브이의 특징은 안정성을 강화한 모터다. 첫 실험에서는 상용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흡사한 입체 구조를 표현하고, 증강현실(AR)을 활용해 어린이나 의대생을 위한 해부학 교육 자료도 개발됐다. ‘Human Anatomy Atlas 2018’ ‘Complete Anatomy’ 등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도 나와 있다. 윤 교수는 “미국, 일본 등과 비교해 한국은 메디컬 일러스트에서 후발주자”라며 “3차원 기술이나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미시세계에서는 전자가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을 갖고 있다. 이 책은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가 1년 간 과학동아에 ‘양자역학 좀 아는 척’이라는 코너를 연재한 뒤 여기에 살을 붙인 것이다. 김 교수는 양자역학을 ‘동네 어르신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8400여 만 원으로 높은 편이다. 교수 1인당 학생 수도 3.4명밖에 되지 않아 소수정예 교육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성적이 B0 이상이면 지급하는 전액 장학금이나, 학생 수용능력이 학생 수보다 더 많은 기숙사 등 학생들이 공부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환경을 갖췄다. 김 입학학생처장은 ... ...
- 학종 준비의 시작, 진로 설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기존의 계열 구분도 희미해지고 있다. 즉 대학 내 교육도 변화하는 시대상과 개정 교육과정에 발맞춰 움직이고 있다. 본인이 지원하게 될 대학의 전공은 그 자체로 목표가 아니다. 자신의 진로희망을 위한 중간단계로써, 어떤 방식이든 자신의 꿈에 부합하면 되는 것이다. 때문에 최근에는 ...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하면서 시작한 ‘도이 퉁 프로젝트’ 때문입니다. 대비는 소수민족에게 국적을 주고 교육과 보건 서비스를 보장했습니다. 양귀비 대신 차와 커피를 재배하도록 도왔죠. 왕족과 주민이 힘을 합쳐 일궈낸 땅이 지금의 도이 퉁입니다. 대비가 세상을 떠난 지금도 주민들은 대비의 생일인 9월 20일이면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원소들을 원자 번호 순으로 나열하면 화학적 성질이 비슷한 원소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이를 토대로 주기율표가 만들어졌다. 하지만 주기율표가 처음부터 지금처럼 체계적인 형태를 갖춘 건 아니었다.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 덕분에 우리가 원소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는 주기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