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44건 검색되었습니다.
엘리베이터 안에서도 끊김없이 통화한다
과학동아
l
2014.06.05
경우 50메가비피에스(Mbps)까지 송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최대 8cm
두께
의 금속판까지 관통하는 데 성공했다. 변 교수는 “엘리베이터 뿐 아니라 선박 내부에서도 전력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것”이라며 “금속으로 이뤄진 전기차 충전 연구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 ...
그래핀, 전자소자로 활용 '길' 열렸다
과학동아
l
2014.05.30
담는 기술을 개발해 유연한 그래핀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두께
가 탄소 원자 크기에 불과한 그래핀은 차세대 전자소자 재료로 주목받고 있지만 실제로 활용하려면 기판 위에 수 cm 넓이의 그래핀을 옮겨 담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 과정에서 그래핀이 찢어지거나 접히지 ... ...
D램, F램은 알겠는데, Re램?
과학동아
l
2014.05.25
활용해 Re램을 만들었다. 원자층 증착 방식(ALD)으로 산화티타늄과 산화알루미늄을 25~30nm
두께
로 도포해 메모리 소자를 구현한 것. 이를 X선과 라만 분광법으로 측정한 결과, 그래핀 상부 전극에 (-)를 인가하면 산화티타늄 내에 있는 산소음이온은 아래로 분산되고 양전하를 가진 산소공공은 위로 ... ...
‘마법의 렌즈’면 머리카락보다 625배 작아도 보여요
과학동아
l
2014.05.18
만들었다. 160nm 떨어진 두 선을 나노렌즈(a)로 보면 선명하게 구분된다(3). 동일한
두께
의 투명막으로는 선이 뭉개진다(b).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제공 연구진이 이 렌즈를 통해 160nm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두 선을 관찰한 결과 각각의 선이 막대 모양으로 선명하게 구분돼 잘 보인다는 ... ...
압전소자 하나로 LED 105개 동시에 번쩍
과학동아
l
2014.05.15
‘티탄산납(PbTiO3)’이라는 신물질을 800도 정도의 고온으로 구워 머리카락 100분의 1 정도
두께
로 얇게 가공했다. 그 다음 정밀한 레이저광선을 이용해 이를 전자기판에 가공해 붙여 새로운 압전소자를 만들었다. 가로 세로 2㎝크기로 만들어진 이 압전소자는 단순히 구부리기만 해도 25 ... ...
차세대 구동장치 ‘인공근육’ 개발됐다
과학동아
l
2014.05.09
특수 처리한 그래핀을 쌓아 종잇장처럼 얇은 5㎛(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미터)
두께
의 전극을 만들어 인공근육으로 활용한 것이다. 실험 결과 그래핀 인공근육은 6시간 동안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됐다. 오 교수는 “그래핀 인공근육을 이용해 로봇이나 장애인용 보조기구에 쓸 수 있는 ... ...
반도체 공정 ‘10나노’ 장벽 무너지나
과학동아
l
2014.04.30
현상과 원자를 층층이 쌓는 ‘원자층증착법’을 융합했다. 산화알루미늄을 5nm
두께
로 쌓은 뒤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 5nm 간격의 초미세 패턴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패턴을 ‘마스크’라 부르는 형틀을 이용해 기판 위에 똑같은 패턴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실제 ... ...
울릉도, 살아 있네 살아 있어~
과학동아
l
2014.04.25
교수와 김기범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연구원은 울릉도 중심에 있는 나리분지에서 60m
두께
의 화산재 층을 분석해 그 결과를 과학동아 5월호에 단독 공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울릉도는 1만9000년 전 이후 다섯 번의 크고 작은 화산 폭발을 겪었다. 울릉도에서 최근 2만년 동안의 화산 기록을 ... ...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
과학동아
l
2014.04.23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팀은 막의
두께
가 원자 한 개 정도에 불과해 투명도가 높은 RGO를 메모리소자 개발에 활용했다. 이 물질은 화학적 처리를 거쳐 산소 대부분을 제거했기 때문에 저항이 낮아 다른 물질처럼 초기에 전압을 흘려서 저항을 ... ...
와이퍼 없는 자동차 유리 ‘실용화’ 성큼
과학동아
l
2014.04.20
이산화티타늄의 표면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했다. 그 결과 환경에 따라 흡착물층의
두께
가 수시로 변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흡착물층은 가장 얇을 때 4~5nm(나노미터·1nm은 10억분의 1m) 정도였지만 주변이 더 밝을수록, 또 습도가 더 높을수록 흡착물층 역시 두꺼워져 최대 200nm까지 늘어났다.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