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44건 검색되었습니다.
휘어지는 투명 태양전지, 간단하게 찍어 만든다
2014.10.28
높여 문제를 해결했다. 그 결과 8nm(나노미터·1nm=10억분의 1m)의 얇은
두께
에도 기존 170nm
두께
의 전극보다 전기를 잘 통하는 전극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전극으로 만든 유기 태양전지는 기존보다 광전류 밀도가 17% 이상 높아, ITO가 아닌 전극을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결과라는 ... ...
맨홀뚜껑 닮은 나노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고분자물질을 채워 넣었다. 기존 평면(2차원) 구조였던 분리막을 3차원 구조로 만들면서
두께
는 두꺼워졌지만 표면적이 넓어져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내구성도 높아졌다. 유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구조를 이용하면 더 튼튼하면서도 처리속도가 3~4배는 빠른 분리막을 만들 수 있다”며 “분리막이 ... ...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번갈아 자기조립하는 방식으로 여러 층으로 적층해 수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두께
에서도 빛을 내는 나노 박막을 제작했다. 실제로 이황화몰리브덴 분자를 네 층으로 쌓자 발광 효율이 최대 4배 이상 향상됐다. 이황화몰리브덴 사이에 넣은 고분자전해질층이 발광 현상을 도왔기 때문이다. ... ...
“화재 경고! 노트북 전지에 화재 경고!”
2014.10.14
닿기 전에 미리 알아낼 수 있도록 양극과 분리막 사이에 50nm(나노미터·10억 분의 1m)
두께
의 얇은 나노구리막을 추가했다. 양극과 구리막 사이에는 전압 차이가 존재하는데, 리튬 가시가 자라서 구리막에 닿으면 전압차가 사라진다. 연구진은 전압차가 0이 되는 순간 신호를 보내 사용자의 ... ...
태양전지, 제조원가 절반으로 낮췄다
2014.10.06
끝내는 기술을 추가로 개발해 공정 과정을 대폭 줄였다. 연구팀은 앞으로 기판의
두께
를 50㎛까지 줄이고 태양전지의 에너지 효율을 지금의 18.5%에서 20% 이상으로 끌어올려 세계적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송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우리나라가 태양광전지 시장에서 선발주자로 거듭날 수 ... ...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도 분석한다고?
2014.09.11
교수 - 서울시립대 제공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얇은 막으로,
두께
가 탄소 원자 하나에 불과하지만 강도가 세고 전기가 잘 통하는 점 때문에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연구진은 그래핀에 작은 구멍을 뚫고 여기에 DNA나 단백질 같은 생체 분자를 통과시키면 해당 분자가 ... ...
전자섬유, 세탁기 넣고 돌려도 OK
2014.09.05
세척하는 과정에서 쉽게 망가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전자센서를 0.005mm
두께
로 매우 얇게 만든 뒤 잘 늘어나는 천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전자섬유 센서를 개발했다. 천에는 접착이 가능한 재료로 코팅을 해둬 어디든 쉽게 붙였다 뗄 수 있었다. 이 전자섬유는 피부에서 오래 붙이고 있어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이해력 떨어지는 건 ‘내 탓’ 아닌 ‘뇌 탓’
2014.08.31
우주를 관측하는 효과를 내는 것으로, 뉴욕에서 로스엔젤레스에 있는 25센트 동전의
두께
까지 구분할 수 있는 정밀도를 자랑한다. 연구팀이 이 시스템으로 1년 반 동안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관찰한 결과 지구가 공전하면서 생기는 차이까지 고려해 플레이아데스 성단까지 정확한 거리가 44 ... ...
원자력발전소에 어린이 기자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8.28
120cm
두께
의 철근콘크리트 외벽 모형을 직접 눈으로 보고 철근을 손에 쥐어보면서 엄청난
두께
와 견고함을 체감했다. 월성원자력발전소 안에 있는 양식장. 월성원자력발전소 안에 있는 독특한 양식장에도 가보았다. 발전기를 돌리고 배출되는 뜨거운 증기를 식히는 과정에서 생긴 7~8℃의 ... ...
반도체
두께
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그치지 않고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대신 단원자층 그래핀을 이용해 소자 전체의
두께
를 원자 몇 개 수준으로 줄이는 데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이번 향후 초고속‧고효율 광전자소자 개발 및 신개념 투명 유연소자 응용 연구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