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광학"(으)로 총 1,0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금으로 해리포터의 '투명망토'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4.01.08
- 나타나는 현상과 매우 비슷하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구형인 금 나노입자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면 의료용 센서나 투명망토 등의 핵심소재로 응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ACS)가 발간하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구랍 23일자에 실렸다 ... ...
- 지난 13년간 한반도 10배 면적의 숲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3.12.12
- NASA)과 미국 매릴랜드대 연구팀, 구글어스 공동연구팀은 미국의 지형 탐사 광학위성 ‘랜드샛 7’이 지난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촬영한 사진 65만 4000장을 모두 합성한 뒤, 영상에서 숲에 해당하는 부분만 따로 골라 13년 동안의 면적 변화를 계산해, 그 결과를 11월 15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분석 ... ...
- 高大 성태연 교수, 한국광전자학회 회장 선출동아사이언스 l2013.12.03
-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성태연 교수 - 고려대 제공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성태연 교수(54·사진)가 한국광전자학회 제 3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성 교수는 지난달 28일 고려대 하나스퀘어에서 열린 한국광전자학회 가을 학술정기대회에서 차기 회장으로 뽑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 ... ...
- 먹구름 아래 파리 에펠탑, 개선문 '선명히 보이네'동아사이언스 l2013.12.01
- 파리의 에펠탑, 개선문 등 지형물을 선명히 관측할 수 있다. (좌)흐린 날씨에 촬영한 광학영상(다목적실용위성3호), (우)흐린 날씨에 촬영한 레이더영상(다목적실용위성5호)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아리랑 5호는 현재 위성 상태, 자세 제어 기동 성능, 영상레이더·자료전송과 안테나 전개 등 ... ...
- 서울대 이병호ㆍ최성현 교수, IEEE 펠로우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3.11.28
- 석사 졸업 후 미국 버클리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회절광학, 3D 디스플레이, 나노광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최성현 교수는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친 뒤 미국 미시간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무선랜(WiFi) 기술 개발의 공로를 인정받아 매우 ... ...
- 순간의 물방울도 머물지 않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2013.11.24
- 빙하 아래 3㎞에 설치된 중성미자 검출용 망원경이다. 아이스큐브에는 5160개의 디지털광학기기와 86개의 줄이 설치돼 있다. 중성미자는 얼음 속의 수소이온에 부딪혀 ‘상호작용’을 일으키면 줄을 따라 빛을 방출해 존재를 드러낸다. 최근 아이스큐브의 존재가 속속 밝혀지고 있다. 미국 ... ...
- 금세기 최고의 우주쇼… '아이손 혜성' 도심에서 직접 본다동아사이언스 l2013.11.15
- 진행될 예정이다. 지난해 9월 러시아가 주도하는 국제 공동천문연구팀인 ‘국제광학네트워크’가 처음 발견한 아이손 혜성은 이동 궤도가 타원형이 아닌 포물선이라서 태양을 스치고 지나가면 다시는 볼 수 없는 혜성으로 유명하다. 아이손 혜성의 꼬리는 이달 29일을 전후해 최고조에 ... ...
- 세기의 혜성, 도심에서 만난다!동아사이언스 l2013.11.12
- 발견 됐으며, 이를 발견한 러시아의 과학자 비탈리 네브스키가 속한 기관인 국제 과학 광학 네트워크(ISON)의 이름을 땄다. 금세기 혜성 중 가장 밝을 것이라는 예측과 함께 ‘세기의 혜성’이라는 별명을 얻은 아이손은, 76년마다 돌아오는 헬리 혜성과는 달리 일회성 혜성이다. 11월 말, 태양 근처를 ... ...
- 느닷없이 떨어지는 우주물체? 이제 걱정 마세요!동아사이언스 l2013.11.11
- 작업도 수행할 계획이란다. 우리나라도 인공위성 및 운석 감시를 위한 전자광학 추적 망원경 시스템 개발을 마치고 설치에 들어갔다. 한국천문연구원 내부에 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 첫 번째 감시시설을 11월 중순 경에 몽골에 설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뉴질랜드, 카자흐스탄 등 우주관측이 ... ...
- [화보]제10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영광의 수상작들은?과학동아 l2013.10.25
- 쓸쓸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알을 낳고 죽은 나방의 날개를 투명테이프로 고정한 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이다. 자신의 생명을 다해 알을 낳고 죽은 누에나방의 모습이 봄에 필 새순을 위해 가을에 떨어진 낙엽과 닮았다. 행복한 수달 - 충북대 의학연구정보센터 제공 ◆행복한 수달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