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물"(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다시 말해, 잡식동물이 가진 소화생리학적 특성 덕분에 어마어마하게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을 먹어 치우게 된 것이다.삼시 세끼 꼬박 챙겨먹고 간식, 후식, 야식까지다양한 음식을 즐기는 데서 더 나아가, 인간은 자주 먹는다. 나라와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하루 삼시 세끼를 챙겨 ... ...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지난 5월 17일, 지구사랑탐사대 3기 대원들이 국립수목원에 모였어요. 한 손에는 삽, 다른 한 손에는 작은 확대경을 든 대원들은 수목원 일대를 걷고 뛰며 각 ... 많이 친근해졌다”고 현장교육 소감을 말했어요. 앞으로 지사탐 대원들이 보내 주는 풍성한 귀화식물 탐사 소식을 기대할게요~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3(C13)의 비율을 구해 당시 대기 중 산소 농도를 알아냈다. 코발스키 교수와 마찬가지로 식물의 광합성을 이용한 것이다. 그 결과 당시 지구는 대기 중 산소가 약 10~15%로 지금(약 21%)보다 훨씬 옅었다.중생대에는 산소 농도가 옅었기 때문에 공룡이 온몸에 산소를 보내기 위해 뼛속에 공기구멍이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1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우리나라의 전통약물 지식도 중국에 못지않다. 우리나라에도 식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치료법이 존재하므로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 노벨상 수상자들이 처음 개발한 약물을 발전시켜 더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를 완성했듯, 새로운 약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자들의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동안에는 먹이활동이나 광합성을 통해 외부와 비슷한 비율로 평형을 유지한다. 하지만 동식물이 죽고 나면 더 이상 먹이를 먹거나 광합성을 하지 않아, 원래 있던 탄소가 방사선을 내보내면서 일정한 비율로 붕괴한다. 탄소14는 약 5700년마다 반(1/2)으로 줄어든다. 예를 들어 한 화석에 들어 있는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곤충의 사랑방’으로 할지를 놓고 고민 중이라고 했다.“내가 정성껏 차려놓은 먹이식물을 곤충이 와서 먹는 걸 보면 얼마나 기쁜데요. 아무 데나 가서 곤충 보는 거랑은 맛이 달라요. (등 뒤에서 박새 울음소리가 들렸다) 근데 사실은 ‘새의 밥상’이 됐어요. 곤충이 많아지니까 새가 얼마나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광합성을 통해 바닷물 속 무기물을 유기물로 바꾸면 초식동물이 그걸 먹고 산다. 식물 플랑크톤은 동물 플랑크톤의 먹이다. 체험단원들은 현미경을 한참 들여다보며 다양한 형태의 동물 플랑크톤을 하나하나 따라 그렸다. 바다를 아끼고 지키는 사람들이 이곳에 있다최 연구원은 “태평양 바다를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이번 의 원본 발굴 과정에서 함께 발견된 와 , 그리고 은 이상설이 서양의 근대 화학과 물리학을 공부하며 쓴 책이다. 이로써 한국과학사에서도 이상설의 의미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1880년대 중반부터 일제에 강제 합병되던 1910년 사이에 우리말로 된 60여 권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 방식을 이용해 바나나를 재배한답니다. 또 식물의 작은 조각만을 이용해 새로운 식물을 자라게 하는 ‘조직 배양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 손쉽게 바나나를 복제할 수 있게 됐어요. 새순이 자라 나오는 생장점 부분을 잘라 실험실에서 키우는 거예요. 이것이 작은 묘목으로 자라면 밭에 심어 큰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문제점을 크게 두 가지로 정리했다. 문제점 1 . 작물이 자랄 흙이 없다와트니는 식물학 지식을 살려 화성의 흙을 작물이 자랄 수 있는 흙으로 만들기로 결정했다. 화성의 흙은 메말랐고 작물이 자라는 데 꼭 필요한 박테리아가 없다. 그래서 와트니는 남은 음식 찌꺼기는 물론 몸에서 나오는 모든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