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빛! 전자레인지로 속도 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반파장)를 알 수 있죠. 이 거리의 두 배가 곧 전자기파의 파장입니다. 자, 이제 앞에서 소개한 공식에 파장과 주파수 값을 넣고 계산하면 빛의 속도를 알 수 있겠죠? 과학동아의 계산 결과는 3.7×108 m/s, 이론적으로 공기 중에서 빛의 속도는 3×108 m/s입니다. 근삿값이긴 해도 부엌에서 빛의 속도를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개발팀은 데이터에서 성별에 대한 정보를 제거했지만 문제가 해결되진 않았다. AI가 자기소개서 등 지원자가 작성한 문서의 문체에 따라 성별을 암묵적으로 구분하는 현상이 발견됐다. 성별 데이터가 제거돼도, AI가 스스로 성별을 유추할 수 있는 특성을 끄집어낸 것이다. 개발팀은 이 편향 문제를 ... ...
- 앨런 튜링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학 팀장으로 들어갔다. 내가 암호에 관심이 많기도 했지만, 2년 전 ‘튜링기계’를 소개한 연구 덕분인 것 같다. 튜링기계는 가상의 연산 기계로, 읽고 쓰는 장치와 작동 규칙표로 구성돼 있다. 내 이론에 의하면 이 기계로 모든 계산 문제를 풀 수 있다.에니그마는 타자기처럼 쓰는 암호다. ... ...
- [BOOK소리] 게임 속에 빠진다면? 인더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을 미리 받아 1호 독자가 되어 보았다. 의 세 가지 포인트를 소개한다. 제트팩으로 하늘을 씽씽! 액션 씬에 주목하라 “에릭! 조심해!”주인공 제시의 절친 에릭의 뒤로 거대한 그림자가 드리웠다. 레이저 블래스터가 달린 기다란 팔과 여섯 개의 다리를 가진 새카만 ... ...
- [디지털리터러시] 스마트폰의 조상님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커뮤니케이터’라는 스마트폰을 출시했어요. 또 1997년 스웨덴 기업 에릭슨이 ‘GS 88’을 소개하면서 최초로 스마트폰이란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그 후로도 여러 스마트폰이 나오지만,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지금보다 훨씬 적었습니다. 인터넷 웹서핑, 통화, 이메일 보내기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궁금했지만 어디서도 답을 얻지 못했던 수학에 관련한 고민을 들어드립니다. 간단한 소개를 부탁하자 조 교수님은 최근 종영한 TV 프로그램 ‘싱어게인’에 나왔던 이승윤 씨의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싱어게인에서 무명 가수들은 이름 대신 번호를 달고 경연 대회에 참가했는데, 이 씨는 장르가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방안을 논의 중이며, 앞으로 10년에 걸쳐 연구결과가 잇따라 나올 예정이다). ※필자소개.군나르 스프린 . 독일 브레맨대 극지원격탐사그룹장. 독일 함부르크대에서 물리학과 해양학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으며,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기후, 해양 및 고체지구과학 부문 ... ...
- AI 치우침을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편향된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사실이 여러 번 드러나 논란을 겪었다. 대표 사례를 소개한다. 편향을 감춘 알고리즘인종 따라 재범 확률 차별, 컴퍼스2016년 미국의 독립언론 ‘프로퍼블리카’는 탐사보도를 통해 미국 20여 개 주 법원이 사용하던 AI 시스템 ‘컴퍼스(COMPAS)’가 인종 차별을 한다는 ... ...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어떻게 하죠?교사 D 그것이 가장 어려운 문제입니다. 미국 철학자 존 롤스의 견해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그는 자유주의와 사회계약론을 현대적으로 해석해 ‘정의의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기본적 자유가 사회적‧경제적 이득보다 우선이며, 정의가 효율성보다 우선입니다. 그렇다면 ... ...
-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노트] 모으고 가르다 보면 더하고 빼기가 쉬워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회에 걸쳐 소개한 ‘두 번 받아올림, 받아내림’ 시리즈가 드디어 끝이 났어요. 서울교대 초등수학 연구팀에 따르면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을 잘 하는 비법은 ‘수 모으고 가르기’ 활동이에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지금 바로 알려드릴게요. 많은 친구가 왼쪽 뺄셈이 더 쉽다고 생각할 거예요.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