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작은 지구형 외계행성의 대기에서 물을 발견했다는 뉴스를 기대해 봅니다. ※필자소개이연주. 한국에서 지구대기과학을 공부하던 중 지구와 가장 닮은 행성이자 매우 다른 대기를 가진 금성에 관심을 갖게 됐다. 유럽우주국(ESA)의 금성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팀,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사이로, 키쿠 님 목소리가 튀어나옵니다. 흥을 주체하지 못한 키쿠 님은 자신을 어떻게 소개했을까요. 낮아진 전자 파트의 위상을 드높이겠다는 패기 넘치는 키쿠 님의 인사를 유튜브 긱블 채널에서 만나보세요 ...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미지근한 방바닥에 엎드려 잡지를 읽고 있었다. 그때 서울대 수의대 학생이 수의학을 소개하는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인간 중심의 의학과 달리 모든 생명에 대해 공부하는 학문이라는 구절이나, 우리가 먹는 육류나 유제품도 수의사의 손을 거쳐 안전성을 평가받는다는 내용이 기억에 오래 남았다 ... ...
- [가상인터뷰] 올가미를 만들어 나무를 오르는 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저 선수는 누굽니까?호주에서 온 갈색나무뱀이라고요? 나무 오르는 모습이 색다른데? 소개를 부탁해!안녕! 나는 ‘갈색나무뱀’이야. 나무 위에 살면서 새나 도마뱀, 설치류 등 작은 동물을 먹어. 보통 1~2m, 크게는 3m 정도의 길이까지 자라기도 해.우리가 원래 사는 곳은 호주의 동부와 북부 해안, ... ...
- [가상인터뷰] 전기뱀장어, 함께 모여 사냥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마주쳤어.이렇게 바글바글 모여서 뭘 하는 걸까? 모임이 아니라 사냥 중이라고요?! 소개를 부탁해!반가워! 우리는 전기뱀장어야.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 오리노코강 유역의 늪 바닥에 살면서 다른 물고기나 작은 포유류를 잡아먹어. 다 자라면 길이 2m에 무게 20kg까지 나가지.뱀장어를 닮은 길고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선정되면 어린이과학동아 기사와 온라인 클래스 ‘이달의 우주 날씨’에도 소개됩니다. 정해진 답이 없는 과학동아천문대의 별빛미션! 나만의 독창적인 생각으로 별빛미션왕에 도전하세요! 2021년 1회 별빛미션 주제는 ‘소행성의 자원 탐사는 필요할까?’였어요.이번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말이지! 나는 이 방법으로 계속해서 더 똑똑해지고 있어~. 오늘은 내 공부법, 딥러닝을 소개할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Part1.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Bridge.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Part2. [특집] 딥러닝의 ...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아래 5번째 자릿수까지 정확하게 찾아냅니다. 이제 첫 번째 이야기의 주인공, 조충지를 소개할 때가 됐네요. 429년부터 500년까지 중국 남북조시대 송나라에 살았던 수학자 조충지는 천문학 계산이나 토지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원주율 계산에 매달렸어요. 480년경 정2만 4576각형을 이용해 ... ...
- [기획] 소수점 이하 50조 번째 자릿수까지 나왔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달려온 원주율 이야기도 어느새 막바지에 이르렀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원주율은 바로 컴퓨터 알고리듬으로 구한 결과입니다. 원주율을 구하는 알고리듬을 이용하면 뛰어난 성능을 지니지 않은 가정용 컴퓨터로 계산해도 윌리엄 샹스크의 기록을 깨는 데 불과 10분 안팎이 소요될 뿐입니다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폴란드가 소련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시에르핀스키는 앞서 소개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집합론 외에도 위상수학, 정수론에서도 업적을 남겼습니다. 특히 정수론에서는 ‘시에르핀스키 수’가 유명합니다. 시에르핀스키 수는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k×2n-1이 합성수가 되게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