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열"(으)로 총 1,52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필름 없는 영상의 세계 디지털 카메라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길이가 1/2(12.7mm)인치인 사각형 모양의 CCD에 가로 2천48개, 세로 1천5백36개의 화소가 배열돼 전체 화소수가 약 3백만개(2천48×1천5백36=3백14만5천7백28)라는 뜻이다.따라서 일반 카메라와 비교할 때 렌즈나 셔터 등의 기본 구조가 거의 비슷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CCD는 성능과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다. ... ...
- 12억원 상금 걸린 지뢰찾기 게임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배열하는 문제는 쉬운 문제다. 엄청난 분량을 순서대로 배열하는 일을 상업용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에서 효과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이유다. 반면에 세일즈맨이 여러 도시를 방문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길을 찾아내는 ‘세일즈맨 여행 문제’는 어려운 문제라고 믿고 ... ...
- 초승달이 그믐달로 보인다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이뤄진 반면, 주반사경은 한변이 약 0.5m인 알루미늄판 84개가 접시모양으로 구성·배열됐다.수신기는 전파망원경의 핵심장치다. 우주에서 오는 전파는 세기가 매우 약하고 주파수가 무척 크기 때문에 증폭시키는 동시에 다루기 쉬운 낮은 주파수로 변화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영하 2백60℃ 대로 ...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사실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 미스터리한 배열에 아무런 이유없이 행성들의 거리가 맞아 들어간다는 점이 더욱 미스터리했던 탓이다.천왕성의 발견으로 태양계의 행성의 숫자는 7개로 늘었다. 이에 대해 유명한 독일의 철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헤겔은 ... ...
- 보물 찾아 떠나는 거울나라 여행과학동아 l2001년 01호
- 확인할 수 있다.이들 사이에는 어떤 일정한 규칙이 있을까. 각도와 상의 개수를 나란히 배열해보자.90˚:3개, 60˚:5개, 45˚:7개생긴 상의 수에 1을 더한 다음 거울 사이의 각도를 곱해보자.(3+1)×90= 360, (5+1)×60= 360, (7+1)×45= 360그러면 모두 360이 된다. 이것을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상의 ...
-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이 순서로 배열돼 있다면 옥수수나 밀에서도 유사 유전자가 A', B', C', D'의 순서로 배열돼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벼 게놈연구에서 얻게 되는 정보와 옥수수 게놈연구에서 얻어지는 정보 사이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미국의 경우 똑같은 물건을 6배나 비싸게 바가지를 쓰며 사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 ...
- 공룔출현 이전 직립보행 파충류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00년 12호
- 꼬리로 중심을 잡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하반신의 엉덩이와 무릎, 발목의 뼈가 직선으로 배열돼 이 역시 직립보행의 증거다.라이즈 교수는 “진화의 역사상 네발 달린 동물이 기어다니는 자세에서 직립보행 자세로 진화하는 경우가 두세번 있었다. 공룡의 경우 한차례 이러한 일이 있었고, 포유류의 ... ...
- ② 국내 연구진 벼·배추·고추에 주력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물리지도의 기초가 된다.물리지도작성은 1억 염기쌍을 부분으로 나눈 후,순서대로 배열하는 단계로 게놈연구의 핵심이다.물리지도작성에는 BAC(세균인공염색체,bacterial artifical chromosome)은행 작성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BAC은행이란 DNA를 10만 염기쌍 정도의 크기로 절단한 조각들의 모임을 ... ...
- 세계 최초로 불규칙한 원자배열 결정 합성과학동아 l2000년 12호
- 규칙적이다. 하지만 신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물질은 원자배열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결정이 아닌 불규칙한 분말 형태로만 합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유 교수팀이 메조다공성 실리카 결정을 세계 최초로 합성한 것이다.유 교수는 합성한 실리카 결정을 일본 ...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살펴보면 왼쪽 아래에서 북두칠성과 같은 배열을 이루는 7개의 별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배열은 하늘을 올려다봤을 때 북두칠성의 모습을 뒤집어놓은 것과 같다. 이렇게 하늘에서 땅으로 투영하는 방법으로 그려진 별자리 그림은 고구려나 고려고분에서 종종 관찰된다. 반면 고구려시대의 진파리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