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열"(으)로 총 1,5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 시대의 정보창고 데이터 저장장치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부분은 온도가 상승하면서 자화 방향이 역전되고 자성체의 배열이 달라진다. 이렇게 배열이 달라진 부분은 그렇지 않은 부분과 빛의 반사 각도가 달라지는데, 약한 레이저를 발사해 이런 편광면의 차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읽는다.디지털 오디오용으로 사용되는 2.5인치 크기의 MD(Mini Disc) ...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즉 전체 유전정보를 뜻한다.인간게놈프로젝트 : 인간이 갖고 있는 유전자의 염기쌍 배열 전체를 밝혀내기 위한 프로젝트.AGTC : DNA의 구성요소인 A(아데닌), G(구아닌), T(티민), C(시토신) 등 네가지 염기 종류.가타카 : AGTC 등 네가지 염기의 머리글자를 조합해 만든 영화 제목. 유전자만으로 인간을 ...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바탕으로 우리는 인류 역사상 위대한 발전의 한 순간을 목격하고 있다. 인간의 DNA 안에 배열된 30억쌍 염기의 정체를 거의 밝혀낸 것이다. 원자 주기율표가 20세기 과학 발전의 청사진 역할을 했듯이 인간 유전자 지도는 21세기의 항해를 인도해주는 안내자가 될 것이다.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닫힌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분자생물학자 알란 맥삼과 웰터 길버트, 영국의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거(왼쪽)는 DNA 염기 배열을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게놈 연구가 본궤도에 오른 것이다. 한편 바이러스의 DNA가 최초로 해독됐다.1984년 미국 시터사에 있던 캐리 멀리스는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이라 불리는 기계를 ...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기보다는 다른 생물에서 이미 검증돼 있는 단백질을 받아들이고 재배열해서 새로운 혁명을 이룩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게놈 안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단백질 구조를 분석한 결과, 인간이 다른 동물에 비해 특별히 많은 종류의 도메인을 갖고 있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런 ...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있다. IBM 연구소의 아이글러 박사는 수십개의 원자를 금속 표면 위에 타원형으로 배열한 후, 타원의 한초점에 자성원자(원자 하나가 N, S극을 갖는 것과 같다)를 놓았다. 그러자 다른 초점에 자성원자를 놓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성원자가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짐을 확인했다. 이는 마치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표현했다.다국적팀은 최초로 단백질 화학구조식를 밝힌 업적으로, 또 게놈의 염기 배열을 알아내는 방법을 개발해 노벨화학상을 두번 수상한 영국의 생어박사를 비롯해 여러 과학자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만약 이들이 개발한 게놈 분석 기술이 없었다면 인간게놈프로젝트는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주로 코발트나 코발트와 백금의 합금형태로 이뤄진다. 자성금속 나노입자를 규칙적으로 배열해 하드디스크 같은 저장매체에 비트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 현재의 저장기록 매체인 자성 박막의 한계를 넘어서 1백Gbit/인치² 이상, 나아가서는 테라(10³Gbit)급 정보기록매체에 획기적인 돌파구를 ... ...
- 구장산술에도 유클리드 호제법 나온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같은 두 명제라고 보기 때문이다. 기하원본의 원문을 보자.[명제 1] 서로 다른 두수를 배열해서, 큰 쪽에서 작은 쪽을 계속 번갈아 빼주다가, 만일 나머지가 그보다 앞선 수를 측정하지(연산하지) 못하고 하나의 숫자(최대공약수)가 남으면, (이로 나눈) 원래의 수들은 서로 소가 된다.[명제 2] 두수가 ...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되는 것 같다. 도체의 모습을 띠었다가 다발로 있을 때는 반도체로 되고, 십자 모양으로 배열해 트랜지스터를 만들고 이제는 디스플레이의 전자총으로까지 쓰니 왜 안그렇겠는가. 또 그의 미소 뒤에는 그의 연구가 현실화된다는 기쁨의 의미도 숨어있다. 탄소나노튜브 반도체가 2010년경이 돼야 그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