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단
방식
방책
양식
조치
방안
계획
d라이브러리
"
방법
"(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풀수록 제 자신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느껴요. 폴리매스에는 수학적으로 깊고 새로운
방법
을 제시하도록 하는 신선한 문제가 많기 때문에 풀려고 노력하는 것 자체가 즐거워요. 또 수학자들이 공동 연구를 하는 것처럼, 혼자서는 잘 안 풀리는 문제들을 다른 회원과 함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1월 온라인클래스를 통해 이 슬라이드 퍼즐을 직접 내 손으로 뚝딱 만드는
방법
을 알려 줬습니다. 어과수 독자들도 실시간으로 함께 참여하며 만들기에 도전했는데요. 온라인클래스에 참가하지 못해 아쉬웠다면 지금 QR을 찍고 다시보기를 해보세요. 어과수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방문하면 퍼즐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랭턴의 개미’를 만들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콘크리트’, 도는 방향은 ‘오른쪽’, 이동 방향은 ‘앞으로’로 설정하세요.➐ 같은
방법
으로 ‘아니면 실행’ 코드를 작성하세요. 빌더가 검은색 콘크리트 블록을 감지하지 못했을 때는 검은색 콘크리트 블록을 놓고 왼쪽으로 이동하는 명령이에요.➑ ‘코드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 ...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수도 있다. 어쨌든 양자 컴퓨터로 모두가 게임을 만드는 것보단 낫지 않을까.“접근
방법
을 바꿔보면 어때요? 작품이 아닌 작가를 복원하는 거예요. 화폭이 어떻게 채워졌는지 묻기보다 화폭을 누가 어떻게 채워나갔는지 묻는 거죠.”팀원들이 일제히 입을 벌렸다. 하품을 하느라 벌어진 입이었다 ... ...
[특집] 내가 지킨다! 굿커뮤니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4호
“독자들에게 답을 정해 주기보다 커뮤니티에서 직접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법
을 고민해 규칙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었다”고 했어요. 이어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출석체크’ 같은 매우 짧은 글을 지양하자는 점이었는데, 그 이유가 단순한 글을 올려 ‘포인트’를 손쉽게 ... ...
[기획] 항바이러스제, 꼭 필요하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4호
건데요. 항바이러스제의 원리를 통해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방법
은?팍스로비드와 같은 치료제는 ‘항바이러스제’로 분류됩니다. 몸속으로 들어온 바이러스를 직접 공격하거나 증식을 막아 질병을 치료하지요. 항바이러스제는 항세균제(항생제)에 비해 개발하기가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친절한 우왁족과 거대 괴물 부르르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4호
한다.”“이건 너무 어렵다. 특히 로봇인 나는 불규칙적으로 행동하기가 힘들다! 다른
방법
은 없는가?”프로보가 외쳤습니다. 하지만 우왁족은 고개를 저었습니다. 그래도 우왁족이 부르르 오줌 나르기를 도와주기로 해서 다행이었습니다. 이 계획을 루띠에게도 전했습니다. 루띠는 내키지 않는 ... ...
[수학체험실] 에셔 작품 따라잡기 헤슈 타일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우리가 매일 걸어 다니는 길거리의 보도블록과 건물의 벽면을 가득 채우는 타일들을 살펴보면 빈틈과 겹침 없이 메워져 있다. 그런데 다각형이 아닌 타일 조각은 어떻 ... 비대칭 조각으로도 테셀레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이제 헤슈 타일을 만드는 변의 이동
방법
에 대해 살펴보자 ... ...
[과학뉴스] 헤니파바이러스 단백질 구조 찾아 백신 개발까지 이어질까?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1개는 숙주 세포 방향으로 위치시켰다.연구팀은 G단백질 구조를 바탕으로 백신 개발
방법
도 제안했다. G단백질 전체가 아닌 덩어리 부분만을 항원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도 스파이크 단백질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항원으로 사용한다.데이비드 베슬러 ... ...
[가상인터뷰] 로봇 개발에 영감을 주는 개미 뗏목의 역학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마리가 뭉친다. 이를 ‘개미 뗏목’이라고 한다. 붉은불개미가 생존 확률을 높이는
방법
이다. 이 뗏목은 층 구조로 이뤄져 있다. 수십만 마리의 개미가 두 개의 층으로 나뉘어 있다는 뜻이다. 두 층에 있는 개미들은 각각 다르게 움직인다. 아래층에 있는 개미들은 정지한 상태로 서로 달라붙어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