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상대"(으)로 총 1,2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흉악범도 용서할 수 있을까2017.07.08
- 경험상 누구를 오랫동안 미워하고 증오하는 것은 상당히 힘든 일이다. 나 역시 증오할 상대가 생겼을 때 가급적 빨리 평정심을 찾고 하지만 차분히 잘잘못을 따지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을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 참고문헌 Thompson, L. Y., Snyder, C. R., Hoffman, L., Michael, S. T., Rasmussen, H. N., ... ...
- ‘그럴 수도 있지’라고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변화들2017.07.01
- 누구나 도움을 줄 의향을 보였다. 또한 너그러운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상대의 상황에 감정적으로 이입해 본인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덜 보였다. 공감능력의 한 가지 한계는 타인의 감정이 그대로 옮겨온다는 특성 때문에 지나치게 공감능력이 뛰어나 감정이입을 심하게 하는 경우, ... ...
- 영웅적인 행동도 여성이 하면 과소평가 된다?2017.05.27
- 행동에는 여성의 비율이 상당함에도 여성의 봉사에 대한 포상이나 신문 기사 등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영웅적인 행위에 있어서도 여성의 공헌이 당연하게 여겨지거나 과소평가 되는 현상을 일부 반영한다고 보았다. GIB 제공 연구자들은 또한 여성보다 남성이 주로 더 위험추구성향을 보일 ... ...
- 당신은 ‘거절당할 용기’가 있나요? 2017.05.21
- 사람들은 나의 요청을 싫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마 안 될 거라고 겁부터 먹고 또 상대의 의도를 과하게 부정적인 방향으로 해석하는 경우 실제로 아무것도 요청하지 않음으로서 거절을 원천봉쇄하는 효과가 있겠지만, 만약 그로 인해 놓치게 되는 좋은 기회나 관계들이 아쉬울 것 같다면 다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2017.05.16
- 기장은 덜 먹고 밀과 보리는 더 먹었다는 뜻이다. 한편 질소의 안정 동위원소 N14와 N15의 상대적인 양을 분석하면 육류섭취 정도를 추측할 수 있다. 즉 N15의 경우 먹이사슬이 올라갈수록 비율이 높아지는데 따라서 식단에서 육류의 비율이 높을수록 콜라겐의 N15 비율이 높다. 분석 결과 양사오문화 ... ...
- 사랑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2017.05.13
- 만드는 것이다.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되듯 사람들 사이에는 거대한 강이 있어서 상대가 귤을 던졌는데 내가 그걸 탱자로 받으면 결과는 탱자인 것이다. 이렇게 우리에게는 굴러들어온 행복을 뻥 차버릴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만약 불행하다면, 사랑받지 못하고 있다고 느낀다면 정말 행복과 ... ...
- [표지로 읽는 과학] 규모 7.8 지진으로 뉴질랜드 南-北섬 5m 가까워져동아사이언스 l2017.04.16
- 이 지진은 뉴질랜드가 일찍이 경험해 본 적 없는 사장 최대 규모였다. 사망자는 2명으로 상대적으로 적지만, 수백 명의 주민들이 거주지를 떠나 대피했다. 지진의 결과로 남섬은 북쪽으로 5m 이동했고, 위로 8m 솟아올랐다. 뉴질랜드 남섬 헝데일 단층에서 시작된 지진은 북쪽으로 170km 가량 그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 몸에 대한 나의 의사를 흔쾌히 존중해주는 모습에서 편안함과 안전함을 느낄 수 있었다. 상대의 바운더리를 묻고 이를 존중하는 것이 나에게도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일이다. 막상 거절당하면 언짢게 느껴질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분명히 옳은 방향임은 분명하다. 서로의 바운더리를 존중할 수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실망시켰다던가 또는 같은 팀원들에게 피해를 주고 말았다던가, 나도 모르는 사이 상대에게 상처주는 말이나 행동을 했다던가, 아니면 심지어 암 같은 ‘병’에 걸렸다던가 범죄의 피해를 입었을 때에도 많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비난하는 모습을 보이곤 한다(Shaver & Drown, 1986). GIB 제공 ● ... ...
- 죽음의 바다가 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동아사이언스 l2017.03.19
- 색을 잃었다는 것이다. 휴지스 연구원은 “아직 표백 현상에 안전한 지역은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남쪽 부분”이라며 “해양생태계의 상징인 산호초를 지구온난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세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해 2월 26일(왼쪽)과 4월 19일(오른쪽)에 찍힌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