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상
한 짝
대항자
반대자
대면
상대방
고대
스페셜
"
상대
"(으)로 총 1,26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말’은 한다. 그러나 특정 단어나 문장을 맥락 없이 반복하기 때문에 진정한 대화
상대
가 되지는 못한다. 머리(소프트웨어)가 발성기관(하드웨어)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반면 개나 보노보는 하드웨어가 소프트웨어를 따라가지 못해 어느 정도 의사소통은 하지만 말을 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지네에 물렸을 때 통증이 심한 이유를 밝힌 논문이 실렸다. 독액을 방어용으로 쓸 경우
상대
를 고통스럽게 하는 게 좋은 전략이다. 벌에 쏘였을 때도 꽤 아픈 이유다. 지네 독액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성분을 찾은 결과 아미노산 27개로 이뤄진 펩티드인 RhTx가 주범인 것으로 드러났다. RhTx는 고온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마련이다. 다만 개인이나 나이에 따라 복부지방량이 같더라도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상대
적인 비율이 꽤 차이가 난다. 물론 CT나 MRI를 찍으면 내장지방의 양을 정확하게 알 수 있지만 비싸고 번거롭다. 이처럼 내장지방의 양에 민감한 이유는 대사질환이 전체 지방의 양보다 내장지방의 양에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빼앗길 수 있고 따라서 갈색지방조직이 잘 발달해 있다. 반면 사람은 갈색지방조직이
상대
적으로 적어 물 대신 숙신산 음료를 마시더라도 생쥐만큼 효과가 날지는 미지수다. 그럼에도 조만간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될 것이다(어쩌면 이미 실시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기적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국이 슈퍼컴·양자컴 연구에 매진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8.07.28
컴퓨터가 필요한 이유다. 사이언스에 따르면, 강력한 연산 능력을 확보하게 되면, 일반
상대
성이론은 물론이고 지금은 소수파 의견인 대안 중력 이론이나 덧차원 중력이론 등 다른 중력 이론을 탐색할 기회가 열릴 수도 있다. 사이언스는 마지막으로 칼럼을 통해 미국 정부의 양자컴퓨터 연구 지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겸손해야
상대
를 설득한다
2018.07.14
틀릴 수 있는 것처럼 타인도 얼마든지 모르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하면,
상대
의 실수 역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조롱하지 않을 것 같다. 설득하는 사람의 태도도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지뇽뇽 작가의 신작. 나에게 처음으로 따듯해져보는 자기자비 연습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
2018.07.07
제공 하지만 한 가지 의문은 사람들과 잘 어울리고 쾌활한 사람들이 행복한 것 못지 않게
상대
적으로 조용히, 하지만 자기만의 방식으로 행복을 찾아가는 사람들(행복한 내향적 사람들)이 분명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들의 특성은 무엇일까? 성격이란? 행복한 내향적인 사람들에 대해 알아보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7.01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하다못해 비슷하게 뛰어난 성과를 낸 과학자 중에서도 화학처럼
상대
적으로 대중에게 덜 알려진 분야의 과학자도 많이 있지만, ‘스타’라는 기획어에 걸맞게 그런 선택은 하지 않았다. 네이처와 사이언스 등 영미권의 주류 과학잡지는 이렇게 특정 지역의 과학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
'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연구들이 있었다(Knee, 1998). 아무 노력도 하지 않은 채 어느 날 내 눈 앞에 완벽한
상대
가 나타나기만을 바라는 것은 어리석은 행동일 것이다. 처음부터 나에게 딱 맞는 완벽한 흥미거리가 나타나기를 바라는 것 또한 어리석은 선택일 수 있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나 역시 어렸을 때 열정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말을 끊었다. 설사 아인슈타인이 자폐 성향이 아니었더라도 10년 넘게 고도로 집중해서
상대
성이론 연구를 하다 보니 사회성이 꽤 떨어졌을 것이다. 1944년 아스페르거 증후군 어린이들을 처음 보고한 오스트리아의 소아과 의사 한스 아스페르거는 “사실 완벽하게 정상적인 사람에게서도 외부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