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
세포로 만든 ‘인공 눈’으로 앞 못 보던 토끼, 눈 떴다
2016.03.10
눈에 이식해도 기능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결과기도 하다. 니시다 교수는 “인간의
줄기
세포를 사용해 만든 인공 눈이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의 시력 회복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부분적인 이식에서 인공 눈처럼 전체 이식으로 연구를 확대해갈 계획이다. ... ...
[Health&Beauty]봄, 몸이 깨어난다 기지개 쭉 펴고 땀 흘려보자
동아일보
l
2016.03.09
무리한 야외 운동은 삼가라고 조언한다. 겨울엔 운동량뿐 아니라 기본적인 활동량도
줄기
때문에 근육과 관절의 기능은 약해지고 골밀도도 낮아지는 반면 체중은 늘어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이다. 생리적 기능과 운동기능이 전체적으로 떨어져 있고 관절이 뻣뻣해 운동 범위가 줄어든 상태다. ... ...
[윤승옥 기자의 야구&]감독 자리 넘보는 ‘알파고’
동아일보
l
2016.03.08
운영해 왔다. 이 때문에 미국 언론들은 다분히 숨고르기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이미 큰
줄기
는 되돌리기 힘들다는 것이다. 인간의 고유 영역마저 도전받고 있기 때문이다. ‘오심도 경기의 일부’라는 논리로 보호받아 온 심판이 첫 대상이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로봇 심판’을 준비하고 있다. ... ...
“제대혈, 미용-성형-노화방지 목적으론 사용 못해”
동아일보
l
2016.03.07
우려가 작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다. Q. 제대혈 활용에서 주의할 점은…. A. 제대혈
줄기
세포를 활용한 시술은 난치성 질환 등 의학적 필요가 있을 때만 허용되고 있다. 미용, 성형, 노화방지를 위한 시술은 불법 행위이므로 받지 말아야 한다. 신꽃시계 복지부 생명윤리정책과장은 “현재 합법인 ... ...
항암치료로 인한 남성 불임, 새로운 길 열려
2016.03.01
정원
줄기
세포를 시험관에서 대량 배양한 뒤 동결 보존하는 기술을 먼저 개발했다. 이
줄기
세포를 다시 꺼내 면역거부반응이 생기지 않도록 만든 면역결핍생쥐의 피부에 이식했더니 정상적인 군견의 정소조직이 만들어졌다. 재생된 정소조직 속에는 정자로 분화할 수 있는 정원세포가 안정적으로 ... ...
中 연구진, 배아
줄기
세포로 생식 가능한 정자세포 첫 제조
2016.02.26
쥐와 교배를 시키자 정상적인 자손을 낳았다. 자하오사 난징의대 교수는 “이번에 배아
줄기
세포를 처리한 기법을 영장류 등 다른 동물에게도 적용할 계획”이라며 “이 기술이 안전하고 효율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되면 인간의 정자를 만들어 실제 불임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용암이 쏟아지는 폭포? 요세미티의 장관
팝뉴스
l
2016.02.23
나타나지도 않는 까닭입니다. 석양과 폭포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만든 ‘아름다운 용암
줄기
’는 해외 누리꾼과 언론들의 주목 대상이 되었습니다.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미니 뇌’ ‘미니 위’ 등 초소형 인공장기로 질병 연구 새 길 열릴까
2016.02.19
이식 받지 않은 쥐는 8주 만에 죽었다. 저우 교수는 “자신의 피부 세포로
줄기
세포를 만든다는 점에서 이 치료법을 환자 맞춤형으로 임상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β세포를 손실한 당뇨병 환자의 췌장 기능을 개선하거나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한강의 기적’ 일군 과학기술 50년 下·끝] 출연연 벽 허물고 뭉친 ‘어벤저스’
2016.02.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줄기
세포로 난치병과 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
줄기
세포 유래 맞춤형 융복합 NK세포 치료제 개발’ 융합연구단을 이끌고 있다. 또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싱크홀 등 지하 매설물 붕괴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도시 지하 매설물 ... ...
그래핀 위에 인간
줄기
세포 배양 첫 성공
2016.02.16
처음이다. 김 교수는 “
줄기
세포 배양의 안전성을 확보한 만큼 치료 목적에 쓰일
줄기
세포를 대량생산할 수 있다”며 “이 기술이 재생의학 분야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래핀 지지체가 상용화 될 경우 고분자 지지체를 쓸 때보다 세포 배양 비용을 100분의 1로 떨어뜨릴 수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