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집 어디 갔어요? 살 집 잃은 청설모
2016.04.07
많이 부르니 이제는 그 이름으로 굳어진 것이지요. 발톱이 날카로워서 미끄러운 나무
줄기
도 잘 탑니다. 집은 나무 꼭대기에 나뭇가지나 잎으로 짓거나 나무 구멍에서 살지요. 먹이로는 주로 과일이나 열매(잣, 밤을 특히 선호)를 먹고 겨울이면 소나무의 씨도 먹습니다. 주로 나무 위에서 ... ...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_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과학동아
l
2016.04.06
일어날 겁니다. 문화 충격, 교육의 변화, 산업계의 변신 등 흩어져 있던 이야기들이 한
줄기
로 모일 겁니다. 앞으로 어디로 그 흐름이 이어질 지 주목해야지요. 반짝 이슈가 되게 해서는 안 됩니다.” 한국과학창의재단 제공 김 이사장이 알파고가 가져올 ‘충격’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두 가지다. ... ...
나노 기술 이용해 당뇨 치료 돕는다
2016.04.05
일어난다는 신호 전달 메커니즘도 확인했다. 김종훈 교수는 “물리적인 구조를 바꿔
줄기
세포를 췌장세포로 잘 분화되게 하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인슐린을 만드는 세포의 분화 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인 만큼 치료 비용을 낮춰 당뇨병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 ...
신약개발 골칫거리 ‘스크리닝’ 과정 손쉽게 바뀐다
2016.04.05
센터장(왼쪽)과 김기범 서울대 교수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줄기
세포 같은 유효 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리닝’ 기술을 한 단계 진일보 시키는데 성공했다. 생명과학분야 연구는 물론 신약개발 효율성 증대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승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어긋난 두 정의의 충돌… 배트맨과 슈퍼맨의 싸움
2016.04.03
문제가 없다. 슈퍼맨이 배트맨을 이기고 싶다면 먼 발치에서 눈에서 뻗어 나오는 광선 한
줄기
로 시신의 흔적도 찾을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애당초 파워 밸런스로는 상대가 안 되는 시합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영화는 영화. 누구도 영화를 직접 보기 전엔 슈퍼맨의 압승이나 배트맨의 역전승을 ... ...
영화 같은 ‘미군 핵미사일 테스트 장면’
팝뉴스
l
2016.04.02
장면을 포착했다. 촬영 장소는 마샬제도의 콰잘렌 환초. 장시간 노출 사진에 포착된 저 8
줄기
의 빛은 도대체 무엇일까. 바로 MIRV(다탄두 개별목표 재진입 탄두)이다. 피스메이커에 실리는 10개의 핵탄두는 제 각기 다른 목표를 향해 떨어진다. 사진은 그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실제 핵탄두를 ... ...
살아있는 세포, 입체영상으로 보는 현미경 나왔다
2016.03.29
살아있는 세포를 염색하는 것은 어려운 데다, 체내에 다시 주입해야 하는 면역세포나
줄기
세포 등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연구진은 세포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약한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 컴퓨터단층촬영(CT) 기법으로 세포를 촬영했다. 이 방법으로 세포와 조직을 염색하지 않고도 세포 내부의 ... ...
[강원도 고성여행 上] 송지호, 청간정에서 초심을 묻다
2016.03.25
고승은 놓여있던 쇠절구를 금방아가 있는 곳으로 던진다. 그것이 떨어지자 갑자기 물
줄기
가 솟아오른다. 순식간에 정 부자의 집과 재산이 물에 잠기고 만다. 이것이 지금의 송지호가 되었다는 것이다. 잔잔한 풍경에 지친 마음을 다독이기 좋다. - 고종환 제공 어디까지나 설이지만 이를 통해 두 ... ...
애벌레 or 달팽이? 좀비 달팽이
2016.03.21
최종 숙주인 새의 눈에 잘 띄게 하기 위해 해가 쨍쨍한 대낮에 식물의
줄기
를 타고 높은 곳으로 올라가게 조종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좀비 달팽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 게 아닌가 싶네요. 즉 류코클로리디움에 감염된 달팽이는 새에게 잡아 먹히게 되고, 기생충은 최종 숙주인 새에게 무사히 ... ...
항암치료 부작용 ‘탈모’ 원인 찾았다
2016.03.20
“특히 화학치료에 모낭
줄기
세포가 피해를 입지 않고 보존된다는 사실이 규명된 만큼
줄기
세포를 따로 분리해 회복시키는 연구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그 중요성을 인정 받아 피부과학분야 학술지 ‘저널 오브 인베스티게이티브 더마톨로지’ 3월호 표지논문으로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