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2. 명함 같은 휴대폰 나온다과학동아 l2002년 08호
- 그래서 ‘저온 동시소성 세라믹’이다.세라믹 테이프의 한 층은 두께가 5-2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이므로 이들이 여러 층으로 쌓인 LTCC 제품이 되더라도 두께가 1백μm인 종이처럼 얇아질 수 있다. 이같은 LTCC 제품이 휴대폰에 적용된다면 종이처럼 얇은 휴대폰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 ...
- 군사용으로 출발, 의료까지 적용과학동아 l2002년 08호
-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 기술이 적용된 구조체가 필요하다. 박막은 30-5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크기의기둥같은 구조체를 사이에 두고 기판 위에 붕 떠있는 형태가 된다. 적외선 영상센서 연구실에서는 이같이 3차원 구조를 갖는 적외선 감지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새로운 공정을 ...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과학동아 l2002년 07호
- 3백40억달러(약 44조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GMR 소재는 나노미터 두께의 층 내부에서도 강자성체 소재의 형태를 변화시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GMR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센서와 기억소자로 활용돼 대단히 큰 시장을 창출해낼 전망이다.반도체 공정에 동원되는 ...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과학동아 l2002년 07호
- 물리현상을 고려한 재료기술과 형틀기술이 개발돼야 하며, 또 제작된 구조물 자체가 나노미터 단위이기 때문에 작업환경에서 미세먼지를 철저히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지금까지 꾸준히 발전해온 반도체 사진공정기술이 1백nm 선폭의 구조물을 만드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반면 현재 ... ...
- 세계 최초 단원자 트랜지스터 개발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속한다.이번에 개발된 트랜지스터들은 전극 사이가 머리카락 굵기의 5만분의 1인 2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이하에 불과하다. 이 트랜지스터들은 전류 흐름을 전극 사이의 전압 변화로 자유롭게 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 자기장과, 전극 사이의 금속 분자와 원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과학동아 l2002년 07호
- 특이한 물성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나노소재가 나노기술의 기반이 된다. 또 나노미터 단위의 초정밀·초미세 산업용 부품을 대량생산하는 나노공정장비가 필수적이다.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은 나노소재의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업단장으로 선정된 과학기술연구원 ...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위치에너지 벽을 뚫고 지나가는 마술 같은 현상이다. 이 현상은 양자역학의 세계인 나노미터 영역에서 일어난다. 전자 한개의 터널링 효과로 트랜지스터가 작동되는 것이 바로 ‘단전자 트랜지스터’다.기존의 트랜지스터는 수백만개의 전자들이 흐를 때 작동된다. 이때 전자들이 밀집된 공간을 ...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과학동아 l2002년 07호
- 나노 수준까지 이해해가고 있다. 이와 함께 생체 물질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나노미터 수준에서 이론과 실험으로 밝혀가고 있다. 이로부터 얻은 결과로 생체 기능을 미세영역까지 모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다.인공피부나 인공뼈는 생체와 비슷한 구조를 띤 인공물질로 합성해낼 수 있다. ... ...
- 4. 돛올린 국내 초전도기술 개발의 현장과학동아 l2002년 05호
- 처음에 50mm 정도의 지름에서 출발했다면 최종 선재의 필라멘트 지름은 1-1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이하까지 줄어들기 때문에 5천-5만배 이상으로 지름이 줄어드는 엄청난 가공을 받아 필라멘트선이 끊어질 수 있다. 머리카락 굵기가 70μm 정도이므로 머리카락의 1/7-1/70 정도 이하로 극세선 ...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과학동아 l2002년 05호
- 여기서 빠트린 점이 있다. 이때의 굴절률은 나트륨 등에서 발생하는, 파장이 5백89nm(나노미터=${10}^{-9}$m)의 노란빛에 대해서라는 것이다. 사실 물질의 굴절률, n은 상수가 아니다. n은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물론 진공은 예외다. 모든 빛에 대해 n은 1이다.물질의 굴절률이 파장에 따라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