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파이더맨처럼 벽 오를 수 있다?과학동아 l2003년 06호
- 1μm= ${10}^{-6}$m)인 한가닥이지만, 물체를 달라붙게 하는 다른쪽 끝에는 지름 수백nm(나노미터, 1nm=${10}^{-9}$m) 정도로 가늘어진, 1천개에 이르는 가닥이 존재한다.접착력의 비밀은 반데르발스 힘이라고 한다. 분자 사이에서는 전자의 음전하가 양전하를 유도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생기는데, 이 인력이 ... ...
- 우리가 잘 모르는 보석 이야기 3과학동아 l2003년 06호
- 과정에 의해 생성된 것이고, 오팔은 일반 보석과 달리 결정화되지 않은 수백nm(나노미터, 1nm=${10}^{-9}$m)의 실리카겔 구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들이 보석이라 불리는 이유는 옛날 사람들이 광물의 개념을 알기 전부터 보석으로 분류했던 전통 때문이다 ... ...
- 에베레스트 '죽음의 고도'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03년 06호
-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를 숫자로 표시하는 계기 디지틀전압계·디지틀멀티미터가 대표적인 것들이다아날로그-디지틀 변환방식으로는, 측정값을 시간폭으로 변환하고 그 폭을 펄스에 의해 계수하는 계수방식과, 저울에 의해 무게를 계측할 때와 같이 표준이 되는 무게가 붙은 전압감과 주파수로 ... ...
- 영국경찰이 무장하기 시작한 전기총격총과학동아 l2003년 05호
- 001mm 깊이까지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 헤드, 또는 다이얼게이지를 갖춘 마이크로미터 깊이게이지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봄철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 중국에서는 28수(宿)의 마지막 수인 진(軫)으로 불렸다처녀자리 · 바다뱀자리 · 컵자리 등에 둘러싸인 5개의 별이 이루는 비교적 작은 ... ...
- ① 나노 세계의 전투생명체 바이러스과학동아 l2003년 05호
-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기존에 가장 작다고 생각된 생명체인 세균이 보통 수μm(마이크로미터, 1㎛=${10}^{-6}$m) 정도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얼마나 작은지 짐작할 수 있다. 나노세계를 지배하는 전투생명체인 셈이다. 세균은 광학현미경으로 볼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전자현미경으로 봐야 그 모양을 ... ...
- 2 NT · BT · IT · ST 필수 장비로 등극과학동아 l2003년 05호
- 정도 두께의 웨이퍼를 제작하기 위해서 종전에는 이보다 수천배 두꺼운 6백5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단위의 웨이퍼 두장을 절연막 사이에 두고 맞붙인 후 원하는 두께가 될 때까지 갈아내는 방법이 주로 사용됐다. 그러나 이 경우 6백50μm 웨이퍼 두장을 이용해 고작 수백nm 두께의 SOI 웨이퍼 ... ...
- 바빌론에서 바그다그까지 문명의 요람 이라크과학동아 l2003년 04호
- 전후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재물대(載物臺)가 있고, 그 이동량을 마이크로미터 또는 표준척으로 읽을 수 있다 압축공기의 흐름을 확대 기구로 이용하는 비교기 유출구와 그 곁에 놓인 물체 사이의 틈에서 나오는 압축공기의 흐름이 측정할 물체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 변하는 것을 이용한다 ...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과학동아 l2003년 04호
- 빛을 받아 해당 색깔을 띨 수 있는 색소물질)으로 이뤄지는데, 파장이 4백-6백nm(나노미터, 1nm=${10}^{-9}$m)인 빛, 즉 가시광선을 받았을 때 레티날의 화학구조가 시스(cis) 형태에서 트랜스(trans) 형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화학구조의 변화가 광수용체 로돕신의 작용을 활성화시켜 사람의 시신경을 ...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과학동아 l2003년 04호
- 일종이라 할 수 있다별과 별 사이의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먼지 보통 01㎛(마이크로미터, 1㎛=${10}^{-6}$m) 크기로 자외선은 차단하고 이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은 그냥 통과시킨다 따라서 성간먼지가 많은 은하수 쪽의 하늘을 관측하기에는 자외선보다 적외선이 훨씬 유리하다이산화탄소 중 탄소(C)를 ... ...
- 4. 고대인이 개척한 광통신 소재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지금까지 우리는 광증폭기나 광스위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기지 소재 내에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한 금속입자들을 아주 균일하게 분산시켜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잉카시대나 로마시대의 장인들은 유리와 귀금속을 적절히 섞어 미려한 색을 얻었지만 그 안에 미세입자가 작용한다는 것은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