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표자
대표원
대신
정치 위원
대리자
사절
d라이브러리
"
대표
"(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장의 과학] 배고프면 동족도 꿀꺽! 알로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중생대 쥐라기의
대표
적인 육식공룡이에요. 두 발로 걷는 수각류로, 몸길이가 8.5m나 되어 쥐라기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추측되지요. 그런데 최근 알로사우루스가 동족을 잡아먹었을지도 모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미국 테네시대학교 지구·행성과학부의 조교수인 스테파니 드럼헬러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대신해야 한다.해외에서 실험 중인 일부 핵융합 실험로에는 이미 로봇이 설치돼 있다.
대표
적으로 영국에 위치한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핵융합 실험로인 유럽공동 핵융합연구장치(JET·Joint European Torus)에는 내부 상태를 점검하고 간단한 수리 작업까지 할 수 있는 로봇팔 ‘마스코트(MASCOT)’가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합성하기 위해서는 또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화학기상증착법(CVD·Chemical Vapor Deposition)이
대표
적이다. 화학기상증착법은 열이나 플라스마를 이용해 화학물질을 증발시켜, 그 증기를 물체 표면에 얇은 막으로 입히는 방법이다. 고온에 금속 기판을 두고 메탄(CH4)과 같은 탄화수소를 주입하면, ... ...
남극 생태계의 핵심! 크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남극
대표
아이콘, ‘펭귄’은 뭘 먹고 살까요? 바로 크릴이에요. 그런데 새끼 손가락 만한 크릴이 남극 생태계의 핵심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아라온호에선 남극 동물을 먹여 살리는 크릴에 대한 연구도 펼쳐졌어요. 크릴은 남극 바다의 핵인싸?! 남극은 생태계 먹이사슬이 비교적 단순한 ...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시작해 무려 수십조 원의 예산이 투입된 초장기, 초대형 프로젝트다. ITER 회원국 7개국을
대표
해 2015년부터 프로젝트를 이끌어가고 있는 베르나르 비고 ITER 사무총장을 e메일 인터뷰했다. Q. 현재 ITER의 건설은 얼마나 진행됐나?→ 건물을 건설하는 작업은 2007년 시작해 공사가 약 70% 완료된 상태다.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먹지 않는 사람을 ‘비건’이라고 해요. 그리스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피타고라스는
대표
적인 비건이었어요. 19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채식주의’라는 말이 없어 채식을 ‘피타고라스 식단’이라고 불렀답니다. 그러면 채식의 세계적인 동향과 어떤 사람들이 어떤 이유로 채식을 하는지 등을 다음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지금은 주로 다른 회원이 낸 문제를 풀고 있어요. 저만의 문제 고르는 방법이 있다면
대표
이미지와 문제 제목을 보고 풀 수 있을 만한 문제를 고르는 거예요. Q 창우 학생이 느끼는 폴리매스의 매력은 뭔가요?다양한 사람이 낸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점이에요. 평소에 접할 수 없는 문제를 풀면서 ... ...
[한페이지 뉴스] 뉴스페이스 코리아 업리프트, 우주 산업의 ‘별’ 모였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들어가는 전기항공기용 배터리 모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모비우스에너지’의 최유진
대표
는 13일 트렌드 하이라이트 연설을 통해 “드론 택시에 대한 사회의 기대는 커지고 있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성능과 경제성에는 많은 문제가 남아 있다”며 “배터리를 구독하는 서비스를 통해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시도하지 못했던 초전도 자석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가두는 기술을 최초로 구현해낸 것이
대표
적이다. KSTAR가 최초로 도입한 초전도 자석 기술을 활용하면 고온의 플라스마를 토카막 내부에 닿지 않게 공중에 띄워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KSTAR 이전에 유럽과 일본 등에서 상온 자석으로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상용화 시점을 30년 뒤인 2050년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현재의 핵융합 연구자를
대표
해 미래의 핵융합 연구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지금까지 핵융합 에너지는 ‘꿈의 에너지’라고 불려왔습니다. 꿈처럼 행복한 미래 사회를 만들어 준다는 뜻도 있겠지만, 꿈속에서만 존재할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