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X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학계의 숙원을 해결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Y염색체는 78
개
의 유전자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성염색체의 유전자 수가 크게 다른 이유에 대해 로스 박사는 “성의 구별이 없던 생명체가 진화와 돌연변이를 거치면서 X와 Y성염색체가 생겼으며 이 가운데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자생식물사업단 정혁 단장은 “식물 안에는 질병 치료 뿐만 아니라 성기능 강화, 노화
개
선 등 삶을 윤택하게 하는 자원들이 무궁무진하게 들어 있다”면서 앞으로 식물공장이 참살이 시대의 대표 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첨단식물의 르네상스 01 참살이 약품 ... ...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정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2002년 우주왕복선 애틀란티스호를 이용해 우주에서 재배한 콩을 가져오는데 성공했다. 4
개
월 전 우주정거장으로 가는 엔데버호에 콩 씨앗을 실어보내 우주에서 싹을 틔우고 열매를 맺은 것을 회수한 것이다. NASA는 당시 이 경험을 토대로 작은 작물재배실 즉 ‘우주샐러드 기계’를 만드는 계획을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갈색구름 잡는다지난 3월 3일부터 한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 미국, 스웨덴 등 전세계 50여
개
기관에서 많은 과학자들이 각자의 관측 장비들을 갖고 고산에 모여 ‘ABC 고산실험’이라는 이름으로 공동관측을 진행 중이다. 4월 중순까지 진행되는 ABC 고산실험을 통해 과학자들은 함께 자료를 수집하는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국내 유일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가 지난 2월 8일로 가동 10돌을 맞았다. 1995년 차갑던 노심이 ‘마법의 불꽃’을 밝힌지 꼭 10년째를 맞은 것이다. 올해는 하나로 ... 오는 4월11일부터 13일까지 지난 10년간 하나로의 성공적인 운영과 이용을 기념하는 국제심포지움을
개
최할 계획이다 ... ...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석상 하나가 나타났다. 거대한 석상은 커다란 네
개
의 망치를 들고 있었고 그 밑에는 네
개
의 갈림길이 있었다. 석상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써 있었다. ‘망치에는 석상의 여러 부분이 새겨져 있다. 실제 석상의 부분과 다르게 새겨져 있는 망치 아래 문을 통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망치에 맞아 ... ...
질병원인 밝혀줄 유전자 변이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SNP란 피부 및 머리카락 색깔, 체질, 질병 가능성 등
개
인 및 인종의 유전적 특성을 나타나게 하는 부분으로 DNA의 0.1%에 해당한다. 2001년 인간게놈 프로젝트가 완성된 후 세계 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벌여온 핵심연구과제 중 하나다 ... ...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건축가이자 인테리어 디자이너인 얀 야콥슨의 작품이다. 좌판과 등판이 일체형으로
개
미(ant)허리처럼 잘록한 허리가 시각적 포인트다. 오늘날 널리 쓰이는 의자의 원형이다.SE181952년, 너도밤나무·자작나무접이식 의자로 기능성이 돋보이는 이 의자는 에곤 아이어만의 작품이다. 효율적인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반응하는 압전센서를 여러 줄로 배치한 다중배열마이크로폰 (PDVF)도 이런 가운데 나온
개
발품이다.성 교수의 연구는 산업과 직결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현대자동차와의 공동 연구 외에도 유동제어연구실이 그 동안 이뤄낸 성과는 꽤 많다. 선박 표면 마찰저항을 줄여 연료비를 절감하는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찾지 못했다.곤충병원성 곰팡이는 외국에서도 연구가 아주 미흡한 미생물이다. 그만큼 미
개
척지다. 필자는 언젠가 한국 토종 곰팡이에서 페니실린 버금가는 물질을 발굴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한다 ... ...
이전
1049
1050
1051
1052
1053
1054
1055
1056
10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