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세대"(으)로 총 1,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제전기전자학회저널 새 편집장에 채찬병 연세대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8.10.07
- 취득한 뒤 하버드대학 박사후연구원, 미국 벨연구소 책임연구원을 거쳐 2011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IEEE 커뮤니케이션 매거진과 IEEE 무선통신 저널 등 분야 최고 권위 저널 편집위원으로 활동해 왔으며, 분자통신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개척한 선구자라는 공로 등을 인정받았다 ... ...
- ‘블록체인’ 활용한 자율주행차 사고 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10.02
- 신뢰성이 높으면서도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른 네트워크 시스템이 필요하다. 김시호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는 2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차량간 신뢰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다가올 자율주행차 시대에 대비할 차량 통제 시스템으로 쓰일 지 주목된다. 연구진은 ... ...
-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전지 개발되나과학동아 l2018.10.02
-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소재연구단과 연세대 물리학과 공동연구팀은 밤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8월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차세대 반도체 물질로 주목받는 인듐갈륨비소(InGaAs)를 이용해 ... ...
- [2018노벨상]30대 시작 50대 정점,60대 완성…축적의 시간 필요한 노벨상동아사이언스 l2018.09.30
- 기준으로 노벨상 수상자와 비슷한 성과를 이미 얻었다. 생리의학 분야에선 이서구 연세대 교수 물리학 분야에선 김필립 하버드대 교수, 정상욱 럿거스대 교수, 이영희 성균관대 교수이고 화학 분야에선 김광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교수와 현택환 서울대 교수다. 21세기 노벨과학상 강국 일본의 ... ...
- [2018노벨상]수상자 업적 근접한 한국 과학자 6명동아사이언스 l2018.09.30
- 생리작용에 관여하는 인지질 분해효소를 발견하고 역할과 작용을 규명한 이서구 연세대 교수가 관련 수상자의 업적(논문 수 274개, 피인용 수 2만8191회)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왼쪽부터 현택환, 김광수, 이서구 교수-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재단은 “한국 연구자들이 노벨과학상 수상자에 ... ...
- 가짜 학회 국내 참석자 수 1317명…"고의성 짙을 땐 엄중조치"동아사이언스 l2018.09.12
- 참여한 연구자도 180명에 이르렀다. 참가횟수와 참가자 수가 가장 많은 기관은 서울대-연세대-경북대 순으로, 서울대의 경우 88명의 연구자가 97회에 걸쳐 가짜 학술단체의 학회에 참석했다. 과기원 및 출연연 중에서는 KAIST가 43명 총 46회 참석해 1위를 기록했다.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 ...
- [DBR]“바삭바삭~” 이 소리가 프링글스의 크기를 정했다동아일보 l2018.09.12
- 256호 스페셜 리포트의 내용을 정리해 소개한다. ○ 감각의 특성을 활용하라 김병규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는 감각을 디자인하기 위해서 우선 감각적 접점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예컨대 와인의 경우 감각적 접점은 와인 병의 무게이다. 사람들은 와인을 선택할 때 와인 병을 손에 들고 라벨을 ... ...
- 밤에도 전기 생산하는 태양전지동아사이언스 l2018.09.03
- 것으로 기대된다. 송진동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소재연구단장 연구팀은 조만호 연세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빛과 물리적인 진동을 함께 활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빛을 잘 흡수해 태양전지에 쓰이는 차세대 반도체 물질(InGaAs)의 나노와이어 원자 배열을 ... ...
- 과기부 2차관에 민원기 전 미래부 기조실장동아사이언스 l2018.08.26
- 제2차관에 선임됐다. 민 신임 과기부 2차관은 1963년생 서울 출신으로, 연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31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미래창조과학부 대변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 의장, 미래부 기획조정실장 등을 거치며 박근혜 정부 시절 창조경제 정책을 주도한 미래부 안팎의 요직을 ... ...
- 조류 인플루엔자 위험성, 30분 만에 알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18.08.22
- 빛을 냈다. 병원성을 판별하는 데에 30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공동교신저자인 함승주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는 “기존에 주목하지 않던 바이러스 침투 과정에 주목해서 낸 새로운 성과”라며 “현장에서 신속하게 AI 바이러스를 감별하고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