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세대"(으)로 총 1,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게시판] 전파연구센터 신규개소 外동아사이언스 l2018.11.01
- 협력을 위한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전파연구센터를 연다고 밝혔다. 이는 광운대(2014년), 연세대(2015년), 서울대(2016년)에 이어 4번째와 5번째다. 두 학교는 과기정통부로부터 각각 1단계로 4년간 17억5000만 원을 지원받고, 연구성과가 우수할 경우 2단계로 3년간 15억 원을 추가 지원받게 된다. KAIST ... ...
- 녹조류에서 전기 뽑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10.31
- 광합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류원형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진은 녹조류가 광합성을 할 때 생성되는 전자를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녹조류에서 뽑아낸 세포로 얇은 세포 필름을 만든 다음, 이 밑에 ... ...
- [과학도시를 만나다]③ 연구의 자유가 경쟁력…수학의 요람 파리로 모이는 과학자들 수학동아 l2018.10.28
- 않는다. 파리의 과학자들을 해외 연구소로 보내는데도 적극적이다. CNRS는 올해 한국 연세대와 이화여대에 연구소를 열었다. 파리의 과학계는 연구소를 연구자만을 위한 곳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미래 과학자뿐 아니라 대중을 위한 과학 교육과 지식 공유도 임무로 여긴다. 레미 모나손 푸앵카레 ... ...
- 공개SW 보급 이끈 ‘IT 1세대’ 고건 교수 별세동아사이언스 l2018.10.26
- 2003년 대한민국 근정포장, 2012년 세계 한류대상 등을 수상했다. 빈소는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이며 발인은 오는 28일 오전 7시 30분이다. 02-2227-758 ... ...
- 국산 정밀 수술로봇 '닥터 허준' 전임상 최종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10.24
- 4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시신 대상 마지막 전임상 2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서 신동아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원격 수술 로봇 '닥터 허준'으로 카데바에 카테터 시술을 시험하고 있다. - 사진 제공 KIST “아래에 디스크, 위에 신경이 보이네요. 주변을 둘러싼 지방 조직도 ... ...
- [과학게시판]서울대공대 공학 학술상 시상식外동아사이언스 l2018.10.17
- 통해 본 동북아 통합특허제도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의 논문을 제출한 연세대 원주캠퍼스의 재학중인 정원용 경영학부 학생이 수상했다. 최우수상 수상자에게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과 상금 200만원이 수여됐다. ■ 대전의 대표 과학문화축제인 사이언스 페스티벌이 오는 19일부터 ... ...
- 한-불 우주기후관측소 문 연다동아사이언스 l2018.10.15
- 최고 수준의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으로 한국과의 UMI 개소는 이번이 처음이다. CNRS는 연세대에 연구인력을 파견하고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차세대 에너지 소재 등의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 장관은 “한-불 과학기술 협력 행동계획을 통해 4차 산업혁명, 기후변화, 감염병 등 ... ...
- 원자 한층 두께 전자회로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8.10.12
- 전자기기나 극도로 얇은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이관형 교수와 미국 일리노이대 아렌드 반 더 잔데 교수는 2차원 소재로 알려진 그래핀을 이용해 초정밀 전자회로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원자 두께의 얇은 육각형 탄소 ... ...
- 토마토도 프로바이오틱스 먹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10.09
-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 기업 ‘천랩’ 생물정보연구소 곽민정 박사와 김지현 연세대 교수, 이선우 동아대 교수팀은 토마토 뿌리 근처 토양에서 번성하는 미생물이 토마토를 2~3일 만에 말려 죽이는 대표적인 세균성 감염병인 ‘풋마름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물질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 ...
- [과학게시판]중앙과학관 전국과학경진대회 순회전시 外동아사이언스 l2018.10.08
- 변환시대 : 인재 교육 위기 탈출하기’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에서는 민동준 연세대 부총장이 ‘새로운 과거와 오래된 미래를 위하여’를 주제로 강연하고, 장갑수 캐나다 서스캐처원대 물리학과 교수, 정현숙 EBS PD, 이재호 경인교대 컴퓨터교육과 교수 등이 패널 토론을 벌인다.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