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뉴스
"
바다
"(으)로 총 2,711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바람-수소연료전지로 한국의 새로운 10년 이끈다"
과학동아
l
2019.12.27
●해상풍력…연간 5만 가구에 전기 공급 최근 세계적으로 풍력발전 기술은 산에서
바다
로 무대가 바뀌고 있다. 2017년에는 국내 첫 해상풍력발전소인 제주 탐라해상풍력발전소가 운전을 시작했다. 올해 5월에는 전북 고창군 구시포항에서 약 10km 떨어진 해상에 들어선 서남해 해상풍력 ... ...
KAIST팀 국제 자율무인선 알고리즘 대회서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우승을 차지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제 자율무인선 알고리즘 경진대회는 실제
바다
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람 및 파도, 조류 등에 자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최적의 컴퓨터 알고리즘 코드를 두고 경쟁하는 대회다. 바람과 파도를 이겨내고 무인선의 위치와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주어진 항로와 ... ...
외계행성 정밀 탐사 우주망원경 '키옵스' 내일 발사(종합)
연합뉴스
l
2019.12.17
밀도는 행성이 바위로 구성돼 있는지 아니면 가스로 돼 있는지, 금속 핵을 가졌는지,
바다
가 존재하는지 등 행성의 구성과 내부 구조 등을 유추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 [ESA/CNES/Arianespace/Optique video du CSG/J Durrenberger 제공] 키옵스가 밝은 별을 중심으로 관측한다고 해도 식 현상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집채 만한 대왕고래도 몸집에 한계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먹이를 잡아 먹고, 거대동물은 비교적 큰 동물을잡아 먹는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바다
를 호령하는 최고 거대 동물인 고래는 몸길이가 고작 수cm에 달하는 크릴새우를 잡아 먹는다. 제레미 골드보겐 미국 스탠포드대 홉킨스해양연구소 교수팀은 몸집이 작은 알락돌고래부터 가장 거대한 ... ...
가두리 양식장 속 어류 360도 선명한 영상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4
10km 이내에 어디서든 스마트폰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다. 연구진은 양식장이 대부분
바다
한가운데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배터리를 원격에서 효율적으로 켜고 끄는 기능을 추가했다. 또 태양광 패널을 함께 설치해 시스템에 필요한 전기를 한 달간 자급자족할 수 있다. 연구진은 가두리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한국 유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도 내년 1월부터 합류해 스웨이트 빙하와 인근 남극
바다
를 탐사한다. 이원상 해수면변동예측사업단장은 “정밀해진 지형도를 활용해 해수면 상승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 중”이라며 “국내외 연안 침수 피해예방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지구에 생명 불어넣은 '산소화' 점진적으로 진행
연합뉴스
l
2019.12.12
이 사건을 시작으로 약 8억년 전과 4억5천만년 전에 두 차례 더 산소가 폭증하면서 대기와
바다
의 산소량이 현재와 같은 수준이 된 것으로 지질기록에 나타나 있다. 큰 동물일수록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해 공룡이나 포유류 등의 등장도 고생대 때 마지막으로 산소 폭증이 이뤄진 뒤에나 가능했다. ... ...
북극 대기순환 변화가 빙하 빠르게 녹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1
변했고 북극 해빙에 주는 영향이 강해진 것을 찾아냈다고 이달 10일 밝혔다. 북극
바다
에 떠다니는 얼음 덩어리인 ‘북극 해빙’은 기후변화의 원인이자 결과다. 해빙이 줄어 햇빛 반사량이 적어지면 지구가 햇빛을 흡수해 점점 더워지게 된다. 그 결과 해빙이 더 많이 녹게 된다. 해빙이 줄어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있는 홍해아네모네피시를 담았다. 아네모네피시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따뜻한
바다
산호초 해역 말미잘 안에서 알을 낳고 살아간다. 탐 슐레싱거/영국왕립학회 제공 지구과학과 기후학 부문 준우승작인 '거품이 나는
바다
'. 미국 플로리다공대에서 해양공학및해양과학을 연구하는 탐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줄무늬' 정체는 얼음 분출 균열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워싱턴 카네기과학연구소 연구원팀은 엔셀라두스의 얼음지각의 규칙적인 줄무늬가 지하
바다
에서 물이 얼음 형태로 뿜어나올 때 발생한 균열이며, 하나의 균열이 연쇄적으로 주변 수십km 지역에 영향을 미쳐 여러 개의 평행한 줄무늬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천문학 분야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