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협력"(으)로 총 1,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ET - 지구위기극복하는 만능해결사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생각해보자. 만약 현재 상황이 계속된다면 미래 환경도 정말 암울한 것일까. OECD(경제협력 및 발전기구)에서는 교통신호등을 도입해 미래의 환경을 예측하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신호등처럼 위험도에 따라 녹색, 황색, 적색의 신호등을 붙인 것이다.가장 안전한 녹색신호등의 경우 긍정적으로 ...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인공위성 운영에 관련된 지상장비를 국산화해 지원하는 등 정부부처와 관련연구소들이 협력해 시너지 효과를 냈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아리랑 2호는 1999년 12월부터 개발을 시작했는데, 총 개발비는 2천2백82억원이며 2004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중이다. 규모는 아리랑 1호보다 좀더 커서 지름은 1.85m, ...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칼리지 의대등 10개국 주요 생명공학연구자들이 국제적인 인간프로테오믹스 연구협력을 위한 기구를 형성했다. 이름하여 인간프로테옴기구(HUPO, HUman Protein Organization). 이 기구는프로테오믹스의 확산을 위한 기술적∙교육적 활동을 벌이고 있다.단백질을 찾는 일은 보석을 캐는 작업과 같다. ...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컴퓨팅 자원을 알게 모르게 서로 나눠 쓸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전세계의 사람들과 협력해 하나의 대형 프로젝트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개념은 과거의 환경에서는 전혀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사실 개개인의 컴퓨터 활용도는 10-20%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 ...
- 칩 위에 구현되는 마이크로 화학 공장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출근할 땐 레몬향, 점심시간엔 장미향, 퇴근할 땐 라벤더향. 평소 핸드백에 서너 개의 향수병을 넣고 다니는 향수 마니아 김씨는 최근 향수전문점에서 립스틱 크기의 향 ... 연구원을 양성하기 위해 석∙박사 과정의 대학원생을 해외 선진연구센터와의 교류협력에 적극 참여시킬 방침이다 ...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받고 있다. 특히 미국 에너지성은 자국 핵융합 관련 연구 예산 편성시 K스타와의 연구 협력과제를 독립시켜 후원하고 있다. 실제로 2000년부터 수억원의 연구비를 투자하기 시작한 것을 비롯해 K스타 완공시까지 1백억원이 넘는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K스타가 운영되기 시작하는 2005년 경부터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사실이 있다. 바로 유대인이면서도 독일에서 태어나 1차대전 중 나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애국자’였다는 점이다. 하버-보쉬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암모니아는 비료로도 쓰였지만, 산화시키면 쉽게 질산이 되기 때문에 폭탄 원료가 됐다. 실제 전쟁에서 독일은 폭탄을 제조하는데 이를 ... ...
- 조셉 니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케임브리지대 교수인 로난(Colin A. Ronan)이 원 저자의 자문과 협력을 받으면서 그 내용을 간추려 축약해 1978년 이후 ‘The Shorter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를 출간하고 있다.현재까지 이 축약본은 제4권까지 출판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이 축약본 중 제1권 ...
- ① 철통 경계 미국 본토가 뚫린 이유과학동아 l2001년 10호
- 가장 정교한 국제감시네트워크를 운영해 왔다.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와 협력해 관리중인 국제적인 감청시스템인 이른바 에셜론이 그것이다. 해저광케이블과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에셜론은 전세계 통화량과 인터넷 이메일 중 90%를 무차별적으로 감청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 ...
- 국내 연구팀 선보인 꿈의 나노선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전자회로를 만들 수 있다.나노선을 개발한데에는 김교수팀에 있는 여러 연구원들의 협력이 결정적이었다. 논문의 첫번째 저자가 된 홍병희 씨는 원래 실험과는 거리가 먼 컴퓨터화학을 전공했다. 컴퓨터화학이란 컴퓨터로 분자나 화학반응을 설계하는 것. 그러나 홍병희 씨는 우연히 황산세슘(Ce2SO4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