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휴
협동
협조
연합
합작
원조
공동 작업
d라이브러리
"
협력
"(으)로 총 1,439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정호의 옥사 이야기는 일제의 조작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찬란한 과학기술업적 뒤에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 아래 많은 과학기술자의 적극적인
협력
과 협동이 있었던 것이다.한편 “오랑캐의 학문이라도 훌륭하면 배워야 한다”며 북학사상을 고취했던 18세기 실학자 홍대용에 관해서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다. 홍대용은 직접 서양의 천문학과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주고 받으며 계산하는 방식 대형 연산 등 복잡한 문제 해결과 멀리 떨어진 사람끼리
협력
해 일을 처리하는데 쓰인다무색의 휘발성 액체 탄화수소로 분자식은 ${C}_{5}$${H}_{8}$ 생물계에 널리 분포돼 있는 테르펜류는 이소프렌을 중합시켜 얻을 수 있는 분자구조를 갖고 있다박테리오파지나 ... ...
기름으로 얼룩지는 바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유류에 의한 해양오염방지협약’ ‘유류오염의 예방, 대응 및
협력
에 관한 협약’등 다양한 국제협약이 마련돼 있다.바다를 구하는 첨단 방제기술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선박의해양사고는 100%로 예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시시각각으로 기상과 해상상태가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m짜리 길이의 중력파 안테나를 만든 것에서 시작됐다. 이후 1983년 MIT가 캘리포니아공대에
협력
을 제의하면서 LIGO로 발전됐다. NSF의 예산이 테일러가 노벨상을 받을 무렵 확정된 것을 보면 중력파 존재에 대한 확신이 서자마자 예산이 확정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 한편으로는 LIGO의 발음이 ‘lie ... ...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발견, 아트로핀의 길항에 의한 자율신경계의 생리를 해명하고, 화학자와 임상학자의
협력
으로 치료약을 발견했다 약물대사(해독기구)의 연구·개발뿐 아니라 저서《약리학의 기초》(1883)는 현재도 명저로 꼽힌다 구면상(球面狀) 위의 등면적(等面積)이 평면 네트 위에 등면적으로 투영되도록 고안된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매우 복합적인 학문이어서 그 발전은 여러 전문분야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긴밀한
협력
을 통해 종합돼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이해가 확산되고 있는데, 앞으로 세계적인 수준에 경쟁할 만한 종합적인 인프라의 등장이 기대되고 있다.생명과학자들은 바이오인포매틱스라는 훌륭한 ... ...
겸손한 과학이 만든 인간과 자연 공동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바다를 메우고 강과 하천을 덮고 만든 땅과 도로가 개발과 번영의 상징이던 시대가 끝나고 있다. 도시화·산업화가 지상과제여서 난개발 ... 말해주는 가장 적절한 예일지도 모른다. ‘핀드혼 농장 이야기’를 통해 자연과의
협력
, 그리고 공동의 창조가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관련 기술의 발달뿐 아니라 공동연구에서 나온 연구결과물을 함께 활용하는 국제적
협력
체계 구축으로 이어져 우리나라 게놈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우리나라의 국제일배체형지도 프로젝트 참여는 올해 11월 초 콜린스 박사와 더불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는 일본의 유수케 ... ...
2. 네이처·사이언스 권위에 금이 간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바로 네이처를 발간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소 과학자들 사이에 국제적인
협력
과 정보 교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했던 그는 50년이 넘도록 편집장으로 지내면서 네이처를 과학자들의 메신저로 만들었다. 또한 더 나은 과학교육을 위한 캠페인을 벌이거나 화학과 물리가 영국의 ... ...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의대 유전자이식연구소가 몽골 국립의대 의과학연구센터와 맺은 한·몽 유전체 연구
협력
사업 협약을 발전시킨 것이다. 마크로젠은 몽골인 1백명을 대상으로 우선 1만6천5백 염기쌍으로 구성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분석할 예정이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는 모계로만 전달되기 때문에 인류의 기원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