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있다. 과연 계산과학이란 무엇일까? 세 가지 질문에 답을 하면서 그 모습을 알아 보자. 컴퓨터? 100%는 못 믿어~요즘에는 수학자들도 점점 컴퓨터를 연구에 많이 쓰고 있다. 컴퓨터는 실험이나 수학 이론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면 수학 개념을 더욱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1%다. 그래서 방사성폐기물 양을 줄이는 게 원전해체의 핵심이다.이제 원전해체를 시작해 보자. 집에서 쓰레기를 줄일 때 가장 손쉬운 방법은 분리수거다. 원전도 마찬가지다. 방사능 물질에 오염된 부위만 골라서 떼어내는 기술을 ‘제염’이라고 하는데, 제염을 잘할수록 방사성폐기물 양은 ... ...
- 특명! 100인의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가 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는 오직 100명! 100인의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일단 동아사이언스 주니어 홈페이지에 가입해서 기자단이 돼야 해. 정기구독자라면 누 ... 도대체 어떻게 열심히 하냐고? 그 방법은 나 헷갈리나가 자세히 설명해 줄게. 함께 아래를 확인해 보자 ...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위해서는 도구가 필요했고, 석기는 바로 이런 요구에 맞춰 탄생했다.다른 길을 간 인류를 보자. 로부스투스 그룹의 인류는 계속 초식을 고집했다. 기후변동으로 환경이 척박해졌고 식물도 많이 거칠어진 시기였다. 하지만 이 인류는 변화를 거부하고 거친 식물을 먹었다. 어금니가 커지고 턱이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서울 용산 과학동아 사옥에서 부산 해운대까지 직접 과학동아를 배송한다고 생각해보자. 직접 연결한 길 이 있으면 가장 좋겠지만 아쉬운 대로 올림픽대로와 경부 고속도로, 부산 시내 도로를 타고 해운대로 향한 다. 이때 올림픽 대로에 들어서는 지점과 서울 톨게이 트 같은 분기점이 라우터다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변기 물 내릴 때 전기 만든다?과연 사라지는 에너지의 양은 얼마나 될까. 간단히 계산해보자. 사람의 체온은 늘 36.5℃다. 주변 온도가 이보다 낮다면 열이 빠져 나온다(주로 머리를 통해). 일반적으로 잘 때 75W, 깨 있을 때 120W, 가벼운 일이나 운동을 할 때 190W, 아주 어려운 일이나 운동을 할 때 70 ... ...
- [Life & Tech] 손재주에 자신있다면! 3D 이노메탈퍼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우드락이 시시했다면 금속 공작품에 도전해 보자. 차원이 다른 세계를 만날 것이다. 얇은 금속판을 미세 레이저로 정교하게 가공한 금속판을 조심스럽게 떼어 내고, 순서대로 접고 끼워 조립하면 된다.처음에는 곤충 모형처럼 쉬운 공작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쉬운 공작이라고 실망할 일은 없다. ... ...
- [Fun] 이 책을 여는 순간, 당신의 뇌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과학동아 12월호를 만들면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거대한 핵융합 장치 중 하나인 ‘스텔러레이터’ 사진을 표지로 결정했는데, 알고 보니 영국 ... 그저 부록이지.” 이번 겨울엔, 중요한 건 알지만 그간 너무도 무심했던 뇌에게 말을 걸어보자. 저자들이 알려준 영국식 유머를 섞어서 ... ...
- [생활] 수학나라로 간 피노키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참과 거짓이 분명한 곳도 없기 때문이다. 빛보다 빠른 물질이 있는 외계 행성을 상상해 보자. 이곳에서 상대성이론은 거짓이 된다. 상대성이론은 빛보다 빠른 물질은 없다는 가정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수학은 다르다. 빛보다 빠른 물질이 있어도 1+1은 2다.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세상이라도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옷장에서 니트를 꺼냈다면, 이제는 그 안에 어떤 패턴과 수학적 매듭이 숨어 있는지 살펴보자. 위상동형의 성질을 이용해 마음껏 고쳐 보거나, 수학적인 규칙을 따라 나만의 패턴을 넣어 보는 건 어떨까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