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종이, 날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작품을 보며 끊임없이 공부해 종이로 ‘나만의 색깔을 낼 수 있는 3차원 작품을 만들어 보자’는 목표를 세웠고, 끊임없는 노력 끝에 그 목표를 달성했다.“평면만으로는 제 생각을 표현하기에 부족하다고 느꼈어요. 그래서 3차원으로 작품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배우고 공부해서 꽤 오랜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덩치가 크다. 그 이유는 부피와 표면적의 비에 있다. 구의 부피와 표면적을 생각해 보자. 반지름이 r인 구의 부피는 4/3πr³이며, 표면적은 4πr²이다. 부피는 반지름의 3제곱에 비례해 늘어나지만, 표면적은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해 늘어난다. 즉, 부피가 클수록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작다. 부피에 ... ...
- [참여] 현대 모터스튜디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들을 수 있다. 과연 이곳에는 어떤 이야기가 기다리고 있을까? 새해 첫 탐방을 따라가 보자.현대 모터스튜디오의 관람은 유수민 구루★의 안내로 진행됐다. 유수민 구루는 자신의 옷부터 설명하기 시작했다. 언뜻 보기엔 자동차 정비사처럼 보이는 복장이었다.“이 옷은 시트부터 안전벨트까지 ...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위해서는 도구가 필요했고, 석기는 바로 이런 요구에 맞춰 탄생했다.다른 길을 간 인류를 보자. 로부스투스 그룹의 인류는 계속 초식을 고집했다. 기후변동으로 환경이 척박해졌고 식물도 많이 거칠어진 시기였다. 하지만 이 인류는 변화를 거부하고 거친 식물을 먹었다. 어금니가 커지고 턱이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서울 용산 과학동아 사옥에서 부산 해운대까지 직접 과학동아를 배송한다고 생각해보자. 직접 연결한 길 이 있으면 가장 좋겠지만 아쉬운 대로 올림픽대로와 경부 고속도로, 부산 시내 도로를 타고 해운대로 향한 다. 이때 올림픽 대로에 들어서는 지점과 서울 톨게이 트 같은 분기점이 라우터다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변기 물 내릴 때 전기 만든다?과연 사라지는 에너지의 양은 얼마나 될까. 간단히 계산해보자. 사람의 체온은 늘 36.5℃다. 주변 온도가 이보다 낮다면 열이 빠져 나온다(주로 머리를 통해). 일반적으로 잘 때 75W, 깨 있을 때 120W, 가벼운 일이나 운동을 할 때 190W, 아주 어려운 일이나 운동을 할 때 70 ... ...
- [생활] 교묘한 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못 속인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했다. 그는 선거가 끝나고 얼마 뒤 선거 결과를 벤포드 법칙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한 후보자의 표가 조작된 흔적이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사건은 아직까지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이처럼 데이터 조작을 밝혀낼 수 있는 건 많은 데이터가 벤포드 법칙을 따르기 때문이다. 주식 가격, 예상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있다. 과연 계산과학이란 무엇일까? 세 가지 질문에 답을 하면서 그 모습을 알아 보자. 컴퓨터? 100%는 못 믿어~요즘에는 수학자들도 점점 컴퓨터를 연구에 많이 쓰고 있다. 컴퓨터는 실험이나 수학 이론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면 수학 개념을 더욱 ... ...
- [Knowledge] 3할 타자는 최고의 타자일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당신은 프로야구단 스카우터. 올해는 최고의 타자를 데려와야 한다. 과연 어떤 기록을 먼저 봐야할까. 외야에서 잠자던 아재들이라면 가장 먼저 ‘타율’을 말할 것이다.그들이 항상 귀에 ... 세이버매트릭스의 출발점도 바로 그곳이다. 올 한해 통계와 야구의 허와 실을 찾아 떠나보자 ... ...
- PART2. 상대성이론 이해하기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업적이다. 지금부터 우주선을 타고 다섯 단계로 압축된 일반상대론의 우주를 탐험해 보자. 좀 어렵긴 해도 찬찬히 여행을 끝낸다면 당신은 ‘일반상대론을 이해하는 11번째 사람’이 되어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100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PART1. 일반상대성이론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