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위해서는 도구가 필요했고, 석기는 바로 이런 요구에 맞춰 탄생했다.다른 길을 간 인류를 보자. 로부스투스 그룹의 인류는 계속 초식을 고집했다. 기후변동으로 환경이 척박해졌고 식물도 많이 거칠어진 시기였다. 하지만 이 인류는 변화를 거부하고 거친 식물을 먹었다. 어금니가 커지고 턱이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서울 용산 과학동아 사옥에서 부산 해운대까지 직접 과학동아를 배송한다고 생각해보자. 직접 연결한 길 이 있으면 가장 좋겠지만 아쉬운 대로 올림픽대로와 경부 고속도로, 부산 시내 도로를 타고 해운대로 향한 다. 이때 올림픽 대로에 들어서는 지점과 서울 톨게이 트 같은 분기점이 라우터다 ... ...
- [Life & Tech] 손재주에 자신있다면! 3D 이노메탈퍼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우드락이 시시했다면 금속 공작품에 도전해 보자. 차원이 다른 세계를 만날 것이다. 얇은 금속판을 미세 레이저로 정교하게 가공한 금속판을 조심스럽게 떼어 내고, 순서대로 접고 끼워 조립하면 된다.처음에는 곤충 모형처럼 쉬운 공작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쉬운 공작이라고 실망할 일은 없다. ... ...
- [Fun] 이 책을 여는 순간, 당신의 뇌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과학동아 12월호를 만들면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거대한 핵융합 장치 중 하나인 ‘스텔러레이터’ 사진을 표지로 결정했는데, 알고 보니 영국 ... 그저 부록이지.” 이번 겨울엔, 중요한 건 알지만 그간 너무도 무심했던 뇌에게 말을 걸어보자. 저자들이 알려준 영국식 유머를 섞어서 ... ...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것이 ‘IP 추적’ 기술이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운전을 해서 내려가는 과정을 한번 생각해보자. 운전자는 서버와 사용자가 정보를 주고받는 최소 단위인 ‘패킷’, 도로는 ‘인터넷 회선’, 고속도로 톨게이트는 패킷을 서버와 이어주는 ‘라우터’가 된다. IP 추적 기술은 운전자가 서울, 부산 같은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1%다. 그래서 방사성폐기물 양을 줄이는 게 원전해체의 핵심이다.이제 원전해체를 시작해 보자. 집에서 쓰레기를 줄일 때 가장 손쉬운 방법은 분리수거다. 원전도 마찬가지다. 방사능 물질에 오염된 부위만 골라서 떼어내는 기술을 ‘제염’이라고 하는데, 제염을 잘할수록 방사성폐기물 양은 ... ...
- [Life & Tech] 제1회 SW 마에스트로 골든벨 “나도 스티브 잡스에 도전할래요”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웃음을 터뜨리고 골든벨이 시작됐다. 독자 여러분도 직접 골든벨 문제를 한번 풀어보자. 만만치 않다.맞추신 분이 별로 없을 거다. 기자도 틀렸다. 참가자들은 얼마나 떨어졌을까? 30명이 넘는 학생 중 2명도 안 떨어졌다. 이런 뛰어난 실력 때문에 43번까지 가서야 최종 우승자를 가릴 수 있었다.최종 ... ...
- [Hot Issue] 누구도 완벽한 결정을 내릴 순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바로 나다.2015년이 밝았다. 올해만큼은 결정 앞에서 누구보다도 당당한 사람이 되어보자. 대단한 비법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누구나 완벽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존재하지도 않는 주위의 시선을 상상하지 않으면 된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2015년 달력에서 우유부단이라는 단어는 금세 사라질 ... ...
- [Knowledge] 최정의 86억은 거품일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위한 멀고 먼 여정이 이제 거의 끝에 다다랐다. 가장 비싼 계약을 맺은 최정부터 살펴보자. 최정은 SK와 4년간 총액 86억에 계약했다. 최정의 과거 보상가치는 55억7000만 원이다. 향후 4년간 최정의 기대 WAR은 16.46으로 31억2800만 원의 활약이 기대된다. 따라서 최정의 적정 계약금액은 87억 원으로 실제 ...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크럼에게 ‘더 얇게!’라고 주문했던 손님처럼 완벽한 감자칩을 위한 두께를 고민해 보자. 정답은 이미 나와 있다. 시중에 돌아다니는 감자칩 조리법에는 1.6mm로 썰라고 되어 있는데, 봉지 감자칩은 대략 1.2~1.4mm로 썬다.이 두께는 많은 사람들이 경험을 통해 찾아낸 숫자다. 이보다 얇으면 튀길 때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