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미술관]설탕에 녹아든 달콤한 수학, 슈가플래닛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순간적인 운동방향과 늘 수직을 이룹니다. 그리고 물체가 회전할 때 구심력과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이 바로 원심력입니다. 솜사탕을 만드는 비법은 원심력자, 그럼 솜사탕 기계에서 원심력은 어떻게 작용하는 걸까요? 솜사탕 기계를 자세히 보면 정 가운데에는 구멍이 뚫려있고, 설탕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얻지요. 연구팀이 만든 메타물질에 빛을 입사각이 45°가 되도록 쏘아주면 빛이 들어온 방향으로 다시 반사돼요. 하지만 반대쪽 45°에서 쏘면 빛이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죠. 즉, 비스듬히 보아야 얼굴을 볼 수 있는 거예요. 연구를 담당한 왕쑤첸 연구원은 “이 물질은 아군에게만 보이는 군사위성 등 ... ...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기장의 강도와 관련이 더 많다”며 “자기장의 강도가 점점 줄어들었다가 반대 방향으로 서서히 바뀌는 게 지자기 역전”이라고 설명했다. 1600년대 영국 런던에서 지구 자기장 관측을 처음 시작한 이후로 지금까지 매년 0.05%씩 지구 자기장의 강도가 줄어들고 있다. 도 교수는 “외핵의 변화가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나콘 동굴은 천장에 큰 구멍이 뚫려있다. 태양이 움직일 때마다 빛이 들어오는 양과 방향이 달라지는데, 지구는 자전축이 공전축에 대해 23.5° 기울어져 있어 태양의 남중고도와 낮과 밤의 길이는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태양 빛이 스포트라이트처럼 정확하게 정자를 비추는 시간은 하루 중 몇 분 안 ...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낼 수 있는 모터를 어깨에 넣겠습니다. 어깨에 모터를 3개 넣어야 사람 어깨처럼 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 테니 3.5Nm급 모터 3개를 어깨에 넣고 설계를 하겠습니다. 그리고 팔꿈치부터 손까지 거리는 팔의 절반 길이인 30cm로 잡아서 0.6kg×0.3m=0.18kg·m=1.8Nm급의 모터를 팔꿈치에 하나 넣으면 될 것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해령은 다름 아닌 맨틀대류가 상승해 퍼져나가는 곳이며 양측의 대륙은 마치 각각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는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인 것과 같이 해령으로부터 멀어져 간다는 ‘해저확장설’ 모델을 완성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헤스 교수는 1960년 동료들에게 이 아이디어를 초고 형태로 공유합니다. ... ...
- [나의 중국 유학일기] 한 학기 27학점 이수, 우한대의 1년 3학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항상 혼자 돌아와야 했다(같은 학과 친구들이 사는 기숙사가 외국인 기숙사와 반대 방향에 있다). 친구들과 인사하고 혼자 걸어가며 그날 하루를 되돌아보는데, 열심히 하지만 진척이 없고 친구들에게 방해만 되는 것 같아서 많이 속상했다. 하지만 다음 학기부터는 더욱 열심히 할 것이고, 여러 ... ...
- [과학뉴스] GPS 없이 움직이는 ‘개미 로봇’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개발한 앤트봇은 5~14m까지 이동했다가 1cm 미만의 정확도로 제 위치로 돌아왔다. 방향의 정확도 오차는 0.4도로 매우 작았다. 이 같은 정확도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의 성능을 능가하는 것이다. 줄리엔 듀페이로우스 엑스마르세이유대 연구원은 “야간에도 이용할 수 있는 생체 모사기술을 개발해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속도로 방출(제트)하며 ‘싱크로트론 복사’라는 빛을 낸다. 초대형 블랙홀에서 두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제트는 강한 중력에 의한 왜곡과 블랙홀에 의한 가림,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등 블랙홀에 의해 만들어지는 효과가 없다면 단순하고 대칭적인 모습을 보일 것이다. 그렇지만 초대형 블랙홀 ...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척수 임플란트 제작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있다. 이 임플란트가 척수 손상 부위의 구조를 유지함과 동시에, 신경 줄기세포가 올바른 방향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2mm 길이의 임플란트를 제작해 쥐의 척수 손상 부위에 이식하는 동물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손상 부위의 척수가 재생됐고, 다리의 운동 기능도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