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그러니 로보트 재권V의 발목에는 발을 앞뒤로 움직이는 방향과 발목을 좌우로 움직이는 방향 총 2개의 모터를 40Nm급으로 선정하도록 하겠습니다.이제 팔과 다리에 들어갈 모터 선정이 끝났네요. 이로써 신체적인 골격은 어느 정도 갖춘 것 같습니다. 이제는 로보트 재권V를 똑똑하게 만들 때가 ... ...
- [수학체험실] 도형의 닮음을 이용해 복주머니 만들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전통 한복에는 호주머니가 없어 우리 조상들은 주머니를 만들어 달고 다녔습니다. 특히 복주머니는 새해나 특별한 날에 복을 받으라는 의미로 선물했 ... 정사각형을 9등분하고 예쁜 복주머니를 만들어 봅시다. 사용한 종이 재질이나 안에 넣은 재료에 따라 방향제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빈 깡통의 화려한 변신 캔 캔 두 잇(Can can do it!)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다리로 전달되고, 진동으로 인해 벌레 로봇이 움직이지요. 이때 로봇은 다리가 짧은 방향으로 움직인답니다. 작동 중인 컴퓨터, 냉장고에 가만히 손을 올려 볼까요? 미세한 진동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어떤 기계든지 완전히 매끄럽게 움직일 수는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계 장치들은 ... ...
- [과학뉴스] 세포 행동 모방한 군집로봇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카메라 조리개처럼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으며, 빛과 같은 신호에 반응해 자극이 있는 방향으로 움직인다.연구팀은 자기 조립, 치유, 운반 등 세포의 생물학적 행동을 모방하도록 군집로봇 시스템을 설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최대 10만 개의 로봇을 연결할 수 있다.또한 연결된 ... ...
- 전지훈련. 선수 맞춤식 데이터로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외야 펜스 밖으로 넘겨버리자는 대책이 나왔고, 그렇게 선수들은 발사 각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훈련을 하게 된 것이다. 그러니 거포형 타자라면 이 훈련에 주목하라!그러나 내야 땅볼로 안타를 잘 만들어내는 발이 빠른 선수라면 오히려 평균보다 각도를 낮춰야 한다. 데이터 분석 결과 5~10°로 낮게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띠나 클라인 병 같은 도형은 여러 방향으로 돌려가면서 살펴보면 이해하기 쉬운데, 한 방향에서만 바라본 이미지만 담은 종이나 칠판으로 익히려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해주고자 움직이는 수학을 전파하는 선생님이 있다.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최경식 교사를 만나보자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대안 주기율표는 ‘왼 방향 주기율표’다. 프랑스 공학자 샤를 자네가 1928년 발표한 왼 방향 주기율표는 기존 주기율표와 달리 수소가 주기율표의 맨 오른쪽에 있고, 여기서부터 주기율이 왼쪽으로 뻗어간다. 주기율표를 정리한 기준도 다르다. 기존 주기율표가 최외각전자 수를 토대로 주기와 족을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더 오래됐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만약 발견자의 진술이 거짓이라면 사건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된다. 검사는 이웃을 탐문해 변사자의 최종 목격을 확인한 뒤, 통화 기록을 통해 사망 시점을 추정하라고 지휘했다. 이후 구더기의 발육 상태를 확인해 객관적인 사후경과 시간(PMI·Postmortem Interval ...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시간에 유성우를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ALE는 “정확한 속도와 각도, 방향 등을 계산해 입자를 방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일이 가장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ALE는 지상에서 수많은 실험을 진행했다. 인공위성이 위치할 우주 환경을 시뮬레이션한 진공 챔버에서 진동 ... ...
-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블랙홀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A가 계속 레이저를 쏘더라도 시간꼴 영역의 방향 자체가 블랙홀 안쪽에 머물러 있으므로 B에게는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블랙홀에서 멀리 떨어진 관측자 B가 본 A의 시간꼴 영역의 변화는 어떨까. B가 봤을 때 A가 블랙홀로 다가갈수록 중력이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