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2. 대기오염 물질의 흐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수식, 바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방정식은 프랑스 물리학자 클로드 루이 나비에와 영국의 수학자 조지스토크스가 고안했습니다. ‘F=ma’라는 뉴턴의 운동 제2법칙을 유체에 작용하는 요인에 따라 잘게쪼개서 나타낸 미분방정식이죠. (미분방정식 :시간에 따른 ... ...
- 신을 쫓는 기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4월 23일 IBS에서 그를 만났다. LHC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나? 1998년부터 CERN에서 물리학자로 연구하기 시작해 2007년 부터는 CMS의 개발과 실험에 참여했다. CMS는 과학적으로뿐 만 아니라 미적으로도 경이로운 거대 장치다. 이런 CMS를 널리 알리고자 2012년 ‘art@CMS’라는 단체를 만들어 사진, 음악, ... ...
- [수학 THE LOVE] 수학과 물리는 한 몸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잘 모르는 것 같다”며 “앞으로 활발하게 활동해 UNIST, 나아가 모두에게 수학과 물리가 주는 특별한 즐거움을 전달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 모델이론대수학이나 집합론에서 수리논리학적 도구를 이용해 수학적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 푸앵카레 원판쌍곡공간을 원판에 투영한 것으로 ... ...
- [수학 THE LOVE] 수학에 지친 그대에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말한 것이 과언이 아니죠. 갈릴레오 시절에는 혁신적인 관점이었지만, 요즘 나오는 물리학 논문들을 보면 수학 논문과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이런 현상은 경제학, 생물학 등 다른 분야로도 번져 나가고 있습니다. 어떤 현상에 대해 정밀하게 생각하는 것이 곧 수학이기 때문입니다. Q 수학을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Chips)로 진화할 전망이다. 뉴로모픽 반도체는 기존의 반도체 구조가 아닌 인간 뇌의 물리적 구조를 모방한 반도체다.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읽어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존 컴퓨터의 반도체 구조는 정보의 병목 현상, 무어의 법칙(반도체 집적회로의 메모리 용량과 속도가 ... ...
- 화성의 메탄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메탄이 확실히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르코 지우라나 이탈리아 국립천체물리학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마스 익스프레스의 관측 결과를 분석해 메탄의 존재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2013년 6월 16일 게일 크레이터 상공에서 측정한 메탄 농도를 분석한 결과 게일 분화구 상공에서 15. ... ...
- [JOB터뷰] 과학책방 '갈다' 이명현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입구로 들어서면 여느 주택과는 다른 장면이 펼쳐져요. 입구 바로 앞에는 아시아태평양물리센터에서 선정한 올해의 과학책 10권이 전시돼 있고, 서가 곳곳엔 작가의 친필 사인이 담긴 과학책이 꽂혀 있었어요. 또 갈다에서 추천하는 어린이 과학책 코너도 눈길을 끌었지요. 게다가 책방 한 곳에 원자 ...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관계를 이렇게 정리했다. 고 대표는 서울대 물리교육과를 졸업한 뒤 광운대 전자물리학과 연구교수로 일하던 2001년, 같은 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던 김 부대표와 의기투합해 에프티랩을 설립했다. 플라스마를 연구하던 두 사람은 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PDP) 성능을 검증하는 기기를 개발했다 ...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양자역학의 탄생과 발달 과정에서 수소는 혁혁한 공을 세웠다. 닐스 보어를 비롯한 물리학자들이 수소 연구를 통해 원자의 구조, 오비탈, 이온화 에너지 등 과학적으로 중요한 사실들을 밝혀낼 수 있었다.또한 수소는 인간이 더 높은 곳을 정복하는 데도 공을 세웠다. 일반적인 환경에서 수소 기체의 ... ...
-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이번 수상이 새로운 세대의 여성들이 수학의 길로 가는데 용기를 북돋우길 바랍니다.” 거침없고 당당한 모습은 필자가 기억하는 수십 년 전 카렌 울렌백 교수의 모습 그대로였다. 변한 게 있다면 오랫동안 연구에 공헌한 세월로 더 강인해진 눈빛과 여성 수학자로 대면해야 했던 상황에서 단단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